주요내용 |
코리아반도의 미래를 상상하며, 한국과 조선이라는 민족국가를 탐구하다
본 도서의 저술 목적은 분단 이후 남북한, 즉 한국과 조선이 민족국가(nation-state) 형성 과정에서 민족과 국가의 정통성 확립을 위해 경쟁 혹은 투쟁해 온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단 후 약 80년간 경쟁적으로 민족국가 건설을 추진한 결과, 남북의 정체성은 언어와 역사, 가치와 문화, 민족과 국민의식 등 모든 면에서 달라졌다. 향후 통일 과정과 이후의 국가 건설을 생각한다면, 코리아반도의 남과 북에 형성된 한국과 조선의 민족국가 정체성을 연구하는 것은 사회통합과 국민통합의 증진을 위해 준비해야 할 매우 중요하고도 긴요한 과제다. |
---|
목차 |
서장 투코리아의 국가 건설
1. 책의 목적 2. 민족과 국가 3. 용어 설명과 분석틀 4. 책의 구성 제1부 태동기, 대한과 조선 제1장 대한제국의 탄생 1. 조선에서 ‘대한’으로 2. 제국: 자주와 근대화의 열망 3. ‘대한’의 창제 4. 조선의 연원: 사대의 유산인가? 5. 대한과 조선: 민족의 재발견 제2장 조선으로, 다시 대한으로 1. 일제의 국호 변경과 ‘대한’ 말살 정책 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호 계승 3. 임시정부와 조선공화국의 분열 4. 공산주의 운동과 민족 정체성 5. 대한과 조선의 분리 제3장 분단체제하 정부 수립 1. 한국과 조선의 공간 분리 2. 한국-조선 정부 수립과 국호 대립 3. 미국과 소련 모델: 이념적 대항체제 4. 대한민족주의와 조선민족주의의 출현 5. 민족 위에 국가 제2부 냉전기, 남한과 북조선 제4장 한국전쟁과 적대적 국가 경쟁 1. 대결적 군사정권 등장 2. 경제건설 전략 경쟁 3. 일본과 중국의 개입 4. 반공과 반제 5. 배타적 민족주의 제5장 권위주의 국가 건설과 민족자원 동원 1. 유신체제와 유일제 2. 7·4남북공동성명과 평양으로 수도 변경 3. 남북 상호 발전전략 차용 4. 정체성 차별화를 위한 경쟁적 동원 5. 주체적 민족사관의 분열적 해석 제6장 국가 경쟁의 종말과 민족 경쟁의 시작 1. 민주화와 신경쟁 체제 2. 1민족-1국가-2체제-2정부 3. 국가 경쟁의 종말과 민족의 소환 4. 한족과 맥족: 코리아 종족의 기원 5. 신라 대 고구려: 민족 정체성 분화 제3부 탈냉전기, 한국과 조선 제7장 탈냉전의 정체성 위기 1. 88서울올림픽과 사회주의권의 붕괴 2.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3. 남북기본합의서 체결 4. 한국과 조선의 국민의식 형성 5. 민족 담론의 전면 부상 제8장 조선민족제일주의와 단군: 탈냉전기 조선의 반격 1. 조선민족제일주의 2. 단군릉 발굴과 평양의 역사적 정통성 부각 3. ‘하나의 조선’: 상상의 공동체 4. 조국과 민족 5. 우리국가제일주의 제9장 한류의 부흥 1. 경제성장과 한류열풍 2. 남북교류와 한국 효과 3. 한국민족주의의 발화 4. 한민족의 세계화 5. 코리아민족주의 제4부 통일기, 대한조선 제10장 한국과 조선의 국가·민족의식 비교 1. 국가성 인식 2. 적대적 타자화 3. 국민의식 4. 민족의식 5. 주변국 인식 제11장 통일과 정체성 갈등 1. 통일, 한국과 조선의 만남 2. 영토와 국민의 범위 3. 정치 이념 차이 4. 대립적 현안과 쟁점 5. 통일 과정의 갈등 제12장 통일국가의 국호 논쟁 1. 통일과 국호 2. 남과 북의 통일방안에서 제안된 국호 3. 정체에 대한 논의 4. 통일국호 대한조선 종장 남북한 정통성 경쟁의 미래 1. 요약과 견론 2. 성찰적 논의 3. 전망과 기대 참고문헌 찾아보기 |
---|
다음글 | 평화로 가는 길 |
---|---|
이전글 | 신랄하지만 따뜻하게 1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