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2023 통일문제 이해(영문판)

상세내역
저자 국립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
출판연도 2024년 04월 18일
출판사 국립통일교육원
쪽수 291
키워드 #통일   #문제   #이해   #북한   #한반도   #정세   #국제   #국립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은 대한민국 통일부 산하의 전문 교육 기관으로, 1996년 설립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위치하며, 「통일교육 지원법」에 따라 대국민 통일교육과 각급 학교 및 공공·사회교육기관의 통일교육을 지도·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기관의 주요 목적은 국민들에게 통일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평화통일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통일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생, 공무원, 군인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기본 교육 과정, 전문가 과정, 청소년 체험형 교육, 온라인 강의 등을 제공합니다.

또한 국립통일교육원은 통일교육 콘텐츠 개발과 연구를 통해 시대 흐름에 맞는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있으며, 지역 통일교육센터와 협력하여 지역사회에서도 통일교육을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메타버스 콘텐츠와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식을 도입해 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도서 PDF 받기:_2023 통일문제 이해(영문판)

국립통일교육원은 통일문제 및 북한, 한반도 주변정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일문제 이해』, 『북한 이해』를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북한․통일문제에 대한 국제적 이해 제고를 위해  『통일문제 이해』, 『북한 이해』 2종을 모두 영문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상세내역
목차
2023 Understanding Korean Unification

I. How Should We View Korean Unification?
Section 1. The Significance of Unification
Section 2. The Need for Unification
Section 3. Lessons from German Reunification

II.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Section 1.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1. Background and Timeline of Division
2. Founding of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Section 2. Inter-Korean Relations: Conflict and Tension
1. The Korean War and Korean Armistice Agreement
2. North Korea's Provocations and the South Korean Response
3.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Section 3. Inter-Korean Relations: Dialogue and Cooperation
1. Inter-Korean Dialogue
2.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3. Resolving Inter-Korean Humanitarian Issues

Ⅲ. International Order and Environment fo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ection 1. Over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1.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2. Strategic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Section 2. Neighboring Countries' Korean Peninsula Policy
1. U.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2. Japanese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3. Chinese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4. Russia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Section 3.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Korean Unification
1. Building Consensus and Pursu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2. Challenges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Ⅳ. Unification Policies and Formulas
Section 1. Government Policy on Unification and North Korea
1. History of Government Policy on Unification and North Korea
2. Yoon Suk Yeol Administration's Policy on Unification and North Korea
Section 2. South and North Korea's Unification Formula
1. South Korean Unification Formula: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2. North Korean Unification Formula

Ⅴ. Future Vision and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Section 1. Future Vision for a Unified Korean Peninsula
1. Political Vision
2. Economic Vision
3. Socio-cultural Vision
Section 2. Preparations to Achieve the Future Vision for Unification
1. Enhancing the Value of Liberal Democracy
2. Raising Public Awareness of Unification
3. Establishing a Socio-economic Foundation for Unification
4. Reorganizing Legal Systems Related to Unification
5.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6. Reinforcing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7. Educating Future Generations to Lead Korea to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