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한반도 평화는 갈라졌던 민족이 하나로 합쳐야 한다는 민족담론 내지는 당위성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남북 국민들의 편안한 일상을 위한, 안정된 경제와 이에 따르는 민생과 생존의 문제다. 하지만 북은 남을 ‘교전상태에 있는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했고, 이에 따라 새로 들어선 이재명 정부는 통일부 명칭변경은 물론 남북관계 복원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도대체 꼬인 남북관계, 적대적으로 등을 돌려버린 남북은 어디에서부터 문제를 풀고,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는 걸까? 여러 시민사회단체에 몸담으며 평화통일을 실천해 왔던 저자의 생각은 명료하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남북이 각각 독립 국가로 인정받은 그 현실을 그대로 수용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을 적대국가도, 회복해야 할 또 다른 반쪽으로도 보지 말고 ‘우호 국가’로 보자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사실상 통일을 포기하는 것’, ‘결국 남북을 적대적으로 내몰아 전쟁으로 귀결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될 수 있지만, 오히려 점진적인 통일의 방법인 ‘사실상의 통일’, ‘과정으로서의 통일’이 비로소 닻을 올리는 시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서로의 현실을 인정한 거기에서부터 대화가 돋아나고 신뢰가 싹틀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땅에서 피스메이커가 되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라고 믿는다. 대학에서 학생운동을 하고 졸업 후엔 노동운동과 빈민운동에 소극적으로 동참했다. 하지만 치열한 노동 현장에서 자신은 너무나 무력했다고 고백한다. 미련 없이 노동 현장을 떠나 실력에 맞는 방식을 찾기로 했고, 이후 대학원 진학과 결혼, 미국 풀러신학교 유학을 마취고 귀국했다. 그즈음 중국 거주 탈북 여성들의 처참한 상황을 알게 됐고, 이들을 위 한 피난처 제공 활동에 참여하게 됐다. 그러면서 이 땅 한반도에서 피스메이커가 되기 위해 북한을 방문하고, NGO 활동을 하고, 북한학 박사학위도 땄다. 그 과정에서 저자가 온몸으로 겪은 남한사회의 ‘반공 이데올로기’는 처참했다. 통일을 위해서라면 총칼을 써도 된다는 흡수통일의 주장은 사악하다고까지 평가한다. 무엇보다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싸우지 않아도 되는 남북관계를 만들어야 하고, 그 핵심은 현실을 직시하고 그 현실을 받아들이는 용기에 있다고 말한다. 저자의 이 같은 주장은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해법은 아니다. 오래 전부터 제시되어 왔고, 추진되다가 중단되고 이제는 아무도 감히 말하는 사람이 없는 ‘낡은’ 해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저자는 북한은 물론 일본, 중국, 미국, 중앙아시아, 유럽, 러시아 등을 여러 차례 방문하면서 이미 제시되어 왔던 해법이 바로 정답임을 확인했다고 말한다. 남북관계, 한반도 평화에 대해 고민과 회의에 빠진 이들에게 우리 현대사에 대한 성찰과 평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
---|
목차 |
들어가며: 남북, 적대국에서 우호국으로 그리고 글로벌로
1. 국제관계 속의 남북관계 2. 이승만 대통령의 북진통일론은 틀렸다! 3. 6·15의 길과 6·25의 길 4. 아직도 끝나지 않은 6·25 한국전쟁 5. 오고가면 통일이다! 6. 일본의 군국주의와 그 몰락 7. 이토의 길과 안중근의 길 8. 디아스포라 코리안 - 일본 9. 디아스포라 코리안 - 고려인 10. 디아스포라 코리안 - 미국 11. 콘스탄티노플에서 이스탄불로 -유럽과 아시아의 관문 12. 울란바토르와 칭기스칸 13.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를 품은 나라 14. 유럽연합이 주는 교훈 15. 미중 패권경쟁 시대, 코리아의 역할 16. 미국 대외 전략 변화와 한반도 평화 17. 세계는 지금 전쟁 중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18. 세계는 지금 전쟁 중 -팔레스타인 전쟁이 주는 교훈 19. 12·3 계엄 사태와 한미동맹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동맹 20. 여성이 만들어가는 한반도 평화 21. 미 의회의 한반도 평화선언 결의안 22. 정전협정 70년,전쟁을 끝내고 평화로! -워싱턴DC에서 진행된 시민평화 운동 23. 민화협 프랑스협의회와 함께하는 공공외교를 기대한다 나가며: 피스메이커를 완성하는 길 |
---|
다음글 | AI가 제안한 신삼국통일의 길 팍스(PAX) 코리아나 |
---|---|
이전글 |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5년 5월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