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동아시아와통일한국경제

상세내역
저자 우경봉 , 이근 , 조봉현 , 나희승 , 곽성일 , 조형진 , 최용훈
출판연도 2025년 07월 25일
출판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쪽수 484
키워드 #통아시아   #통일   #한국경제   #우경봉   #이근   #조봉현   #나희승   #곽성일   #조형진   #최용훈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우경봉
일본 교토대학 경제학 박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연구원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강사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저서: 『다국적기업론』(공저), 『국제경영전략』(공저), 『해외시장조사론』(공저) 등

-저자(글) 이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버클리) 대학원 경제학 박사
하와이 동서문화센터 연구위원
영국 애버딘대학교 조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현재: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석학교수
저서: The Art of Economic Catch-Up: Barriers, Detours and Leapfrogging in Innovation Systems(저) 등

-저자(글) 조봉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과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겸임교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강사
IBK기업은행 부행장·경제연구소장,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현재: IBK연금보험 부사장, 경기대학교 행정복지상담대학원 겸임교수, 대통령 직속 헌법기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경제과학분과 위원장
저서: 『통일, 기업에 기회인가 위기인가』(공저), 『남북이 공존 공영하는 통일경제』(공저), 『중소기업 현장 경제학』(저) 등

-저자(글) 나희승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 박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
코레일(한국철도공사) 사장
세계철도연맹(UIC) 아시아태평양 지역의장
현재: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저서: The Political Economy of Pacific Russia(공저), 『이제는 통일이다』(공저), 『TKR건설-한반도 종단철도, 북한을 열고 세계를 묶다』(공저) 등

-저자(글) 곽성일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경제학 박사
대통령 비서실 행정관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센터장
저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공저) 등

-저자(글) 조형진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현재: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부교수
저·역서: 『삼농과 삼치: 중국 농촌의 토대와 상부구조』(역), 『중국의 안과 밖: 중국적 표준과 세계질서』(공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질서의 변화』(공저) 등

-저자(글) 최용훈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경영학 석사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과장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실 행정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실 실장
현재: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국장
저서: 『국제채권시장』(공저), 『한국의 금융시장』(공저), Central Bank Collateral Frameworks and Practices(공저) 등
상세내역
주요내용
세계 경제의 중심축이 된 한국, 중국, 일본, 아세안 지역에 대한 학습은 세계 경제의 흐름과 무역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직후 일본은 미국의 원조와 국가 주도의 강력한 산업정책과 수출장려정책 등을 통해 빠르게 경제를 복구해 갔다. 1970년경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경제규모를 가진 국가로 성장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본이 시도한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정책 등은 한국을 비롯한 후발 개발도상국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일본 경제의 성장과 침체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은 한국 경제의 과거를 이해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1990년대 초반 경제개방정책을 취한 중국은 빠르게 성장을 이어가 20년 후인 2010년에 GDP 기준 경제규모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국가로 성장했으며 여전히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의 장기화로 인해 세계 경제 전망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중국은 미국과 더불어 한국의 최대 교역상대국이다. 중국 경제가 어떤 과정을 통해 개혁·개방을 진행했는지 학습하고 중국 경제의 고도성장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경제의 현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20년대 들어 아세안공동체는 세계 경제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중요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정부 역시 신남방정책을 표방하여 아세안과 상호협력의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여 한국 경제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하고자 노력한 바 있다. 교역 상대의 다각화가 절실한 한국의 입장에서 아세안 지역에 대한 학습은 한국 경제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빠뜨릴 수 없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교재는 이상의 내용에 추가로 통일한국 경제를 다루고 있다. 통일이 한국과 북한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언제 이루어질지 그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어떤 형태로든 통일을 대비하는 작업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층 더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을 바라는 한국과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북한에게 통일에 대한 경제적 접근은 좋은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교재가 독자 여러분의 한국 경제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면 공저자 모두에게 크게 기쁜 일이 될 것이다.
상세내역
목차
제 1 장 일본의 전후 복구와 경제성장
1.1. 일본 경제의 번영과 침체
1.2. 수출주도형 경제성장모델의 성립
1.3. 외부충격과 장기성장
1.4. 플라자합의와 버블 형성

제 2 장 일본 경제의 장기침체와 구조개혁
2.1. 일본 경제의 장기침체
2.2. 고이즈미 정권의 구조개혁
2.3. 일본 민주당의 집권
2.4. 일본 경제의 성장기와 침체기에 대한 해석

제 3 장 아베노믹스와 일본 경제
3.1. 아베노믹스란 무엇인가
3.2. 아베노믹스 이전의 일본 경제
3.3. 아베노믹스의 주요 내용
3.4. 아베노믹스 성과 평가 및 시사점

제 4 장 중국 경제의 역사적 접근: 사회주의 경제의 수립과 개혁·개방의 개시
4.1. 서론
4.2. 사회주의 체제 수립 이전의 중국 경제
4.3. 마오쩌둥 시기(1949~1976) 사회주의 경제의 수립과 변화
4.4. 마오쩌둥 시기에 대한 평가와 1978년 개혁· 개방의 시작

제 5 장 중국 개혁·개방의 전개와 성과
5.1. 개혁· 개방과 시장경제 도입: 1978~1989
5.2. 개혁· 개방의 심화: 1992년 이후
5.3. 중국 개혁· 개방의 성과와 성공요인
5.4. 중국 경제의 도전과 과제

제 6 장 4차 산업혁명과 미·중 경쟁 속 중국과 한국의 산업
6.1. 한국 산업의 입장에서 본 4차 산업혁명
6.2. 한 · 중 산업별 구조와 전략 분석의 기본틀
6.3. 9가지 산업 분야에서의 중국과 한국
6.4. 반도체 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과 중국의 추격

제 7 장 중국 경제의 과거, 현재, 미래: 경제추격론의 관점
7.1. 북경 공식(베이징 컨센서스)에서 중진국 함정으로
7.2. 2008년 이후의 구조 전환과 중진국 함정
7.3. 중진국 함정을 채 벗어나기 전에 투키디데스 함정 속으로
7.4. 추격론 관점에서 본 중국 경제

제 8 장 아세안 지역 개관: 사회, 문화, 역사를 중심으로
8.1. 아세안 지역의 지리적 특성
8.2. 아세안 지역의 문화적 특징
8.3. 아세안 지역의 식민주의 경험
8.4. 국민국가 건설과 국가통합 문제

제 9 장 아세안 지역의 경제구조와 글로벌 무역·투자 현황
9.1. 아세안 지역의 인구와 소득
9.2. 아세안 지역의 산업 및 고용 구조
9.3. 아세안 지역의 무역· 투자 현황 및 특징
9.4. 아세안 지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제10장 한·아세안 경제협력과 아세안 역내 경제 및 투자 환경
10.1. 한 · 아세안 지역 간 경제협력 현황
10.2. 아세안 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특징
10.3. 아세안의 경제통합 추진 현황과 의의
10.4. 주요국의 특징과 전략적 가치

제11장 북한의 사회문화
11.1. 북한의 사회
11.2. 북한의 문화
11.3. 북한 주민의 의식 변화와 일상생활
11.4. 남북 사회문화교류

제12장 북한의 산업과 경제개발구
12.1. 북한의 산업
12.2. 북한의 경제
12.3. 시장화의 진전
12.4. 경제개발구

제13장 북한의 교통·물류 인프라와 한반도·유라시아 통합철도망
13.1. 한반도· 유라시아 통합철도망 구상- 왜 한반도· 유라시아 통합철도망인가?
13.2. 북한의 교통· 물류 인프라 현황
13.3. 한반도 · 유라시아 통합철도망
13.4. 한반도 ·유라시아 국제철도협력

제14장 통일경제 이해와 효과
14.1. 통일경제의 개념과 필요성
14.2. 통일경제의 추진 방향
14.3. 통일비용과 통일편익
14.4. 통일경제의 미래

제15장 통일의식조사
15.1. 한국인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15.2. 통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5.3. 소득 및 경제양극화와 통일의식
15.4. 통일의식조사 자료

ㆍ참고문헌
ㆍ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