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우리는 통일을 강요하거나 예단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그 가능성을 열어두고,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통일의 조건을 만들어 가는 일이다. 그것은 제도보다 사람, 선언보다 관계에 더 큰 무게를 두는 과정이다. 그 속에서 통일은 더 이상 거창한 정치 담론이 아니라,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으로 연결되는 진짜 ‘우리의 일’이 될 것이다.
남북이 다시 만난다면,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었는가? 얼마나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었는가? 그리고 이제부터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 책은 그 물음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다.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도 방향을 잃지 않기 위한 나침반, 남북이 다시 만나는 그날을 향해 모두가 함께 걸어가는 데 필요한 사유의 지도다. 그리고 그 길은 아직 늦지 않았다. 지금, 여기서부터 다시 시작하면 된다. |
---|
목차 |
추천사
머리말: 남과 북, 왜 지금인가? [1부. 남과 북, 우리는 누구인가?] 1장. 분단의 기원: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가 2장. 남북의 체제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3장. 민족 정체성, 우리는 한민족인가? [2부. 접촉과 단절의 역사] 4장. 7.4 공동성명부터 판문점 선언까지 5장. 이산가족, 만남과 이별의 기록 6장. 대북지원과 그 논란들 [3부. 북한을 이해한다는 것] 7장. 북한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가? 8장. 북한의 경제와 시장: 붕괴인가 진화인가 9장. 북한의 지도자와 권력 구조 [4부. 남북관계의 쟁점과 해법] 10장. 쟁점과 해법 정리 11장. 핵 문제, 어떻게 풀 수 있을까 12장. 주한미군과 평화체제: 동맹인가 자주인가 13장. 통일 담론과 남북의 통일방안 [5부. 미래를 향한 상상] 14장. 독일 통일에서 배우는 것들 15장. 청년의 눈으로 본 통일, 기회인가 부담인가 16장. 한반도 미래 시나리오: 공존, 연합, 통일, 그리고 코리안 커먼웰스 17장. 남북은 왜 만나야 하는가, 만나면 무엇을 얻는가 맺음말: 남북이 다시 만난다면 참고문헌 |
---|
다음글 | 통도사 |
---|---|
이전글 | 동아시아와통일한국경제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