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상세내역
저자 구갑우
출판연도 2007년 03월 20일
출판사 후마니타스
쪽수 343쪽
키워드 #국제   # 정치   # 근대   # 국가   # 운동   # 시각   # 구갑우
상세내역
저자 소개
이미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및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영국 쉐필드대학 정치학과 대학원을 수학했다. 현재는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한반도 분단체제와 ‘평화국가’ 만들기
이른바 6·15 담론을 비판하면서 평화국가담론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분단구조의 역사를 이익과 정체성의 측면에서 조망하면서 이른바 6·15 시대가 남북한의 정체성 변화를 야기한 중요한 사건이기는 하지만 남북한의 상호 군축과 같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의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덧붙인 논평①에서는 한국의 진보나 보수 모두 국가안보담론과 같은 대량설득무기에 포획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평화개념의 비판적 재구성:한반도적 맥락
우리에게 수입품일 수밖에 없었던 평화개념이 서구사회에서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검토하고 있다. 남북한 모두 서구의 안보담론을 수입함으로써 평화에 대한 전향적 사고를 할 수 없었음을 지적하고, 새로운 평화담론의 기초가 평화운동을 통해 등장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남북한 관계에 대한 메타이론적 접근
남북한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한 이후, 한반도에서 소극적 평화는 물론 적극적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경로를 제시하고 있다.

비판적 국제이론과 한반도의 평화과정
국제관계에서의 진보를 추구하는 비판적 국제이론에 입각하여 한반도의 평화과정을 설계하고 있다. 현실주의적 평화과정이 자주냐 동맹이냐의 함정에 빠질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면서 평화지향적, 역사적 블록의 건설을 통한 한반도 평화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덧붙인 논평②에서는 한반도 평화체제와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이 선순환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평화운동:비판적 평가
한반도에서 새로운 사회운동으로 등장하고 있는 평화운동에 주목하고 있다. 민주화 이후 통일운동과 다른 목표와 지향을 가지는 평화운동이 등장한 이유를 설명하고 평화운동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한국 평화운동이 지니는 한계 또한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덧붙인 논평③에서는 진보진영에서 주목의 대상이 아니었던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고, 논평④에서는 평화운동의 한 사례로서 “제주 평화의 섬 만들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탈근대시대 한반도 평화:안과 밖의 경계 허물기
진보의 진보를 이루기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새로운 시각으로서 탈근대적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남북한이 서로 국가적 정체성을 가지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진보의 중요한 과제라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북한연구의 ‘국제정치’:오리엔탈리즘 비판
북한연구에 침투해 있는 오리엔탈리즘을 서구 학자들이 쓴 저서를 통해 검토하고 있다. 북한연구에 정체성의 정치가 작동하고 있음을 증명하면서,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이 실증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북한의 핵실험과 한반도 평화
북한의 핵실험으로 제기되었던 다양한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북한 핵실험의 원인, 북한 핵실험에 대한 주변국의 대응, 북미갈등의 심층구조, 북한 핵실험의 효과, 북한 핵실험의 정당성 등을 살펴보면서 한반도 평화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상세내역
목차
서문:평화연구의 시각

제1장 한반도 분단체제와 ‘평화국가’ 만들기
1. 문제 설정:‘6·15시대’? / 2. 분단구조의 역사와 분단체제론 / 3. 분단체제의 극복과 ‘평화국가’ 만들기 / 4. 결론: 15담론에서 평화국가담론으로
논평 : '대량설득무기'의 위협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제2장 평화개념의 비판적 재구성:한반도적 맥락
1. 문제 설정 / 2. 평화의 개념:“수입품의 시장조사” / 3. 한반도의 평화담론 / 4. 평화운동의 평화담론:결론에 대신하여

제3장 남북한 관계에 대한 메타이론적 접근
1. 서론 / 2. 남북한 관계의 연구 방법:이론의 분류 / 3. 남북한 관계의 기존 이론들 / 4. 비판과 대안:역사주의적 시각 / 5. 이론의 규범적 차원:결론에 대신하여

제4장 비판적 국제이론과 한반도의 평화과정
1. 문제 제기:이론적 실천 / 2. 현실주의적 평화과정 비판:국제관계와 질서의 문제 / 3. 국제관계의 정치이론으로서 비판적 국제이론 / 4. 한반도 평화과정에 대한 비판적 접근:연구의제의 설정 / 5. 결론
논평 : 한반도 평화체제와 다자간 안보협력

제5장 한국의 평화운동:비판적 평가
1. 평화운동의 전개과정 / 2. 비판
논평 : 북한인권 문제에 관한 이론적 고려
논평 : 평화운동으로서평화의섬제주만들기

제6장 탈근대시대 한반도 평화:안과 밖의 경계 허물기
1. 진보의 진보 / 2. 근대 비판 / 3. 사례:한반도의 분단 / 4. 주체와 공간

제7장 [서평논문]북한연구의 ‘국제정치’:오리엔탈리즘 비판
1. 문제 설정:정체성의 정치 / 2. 북한연구의 시각 / 3. 북한의 지속과 변화 / 4. 북한과 한반도의 평화과정:2003년 위기설을 중심으로 / 5. 결론:패러다임의 혁명은 가능한가?

제8장 북한의 핵실험과 한반도 평화:결론에 대신하여
1. 북한 핵실험의 원인 / 2. 북한 핵실험에 대한 주변국의 대응 / 3. 북미갈등의 심층구조 / 4. 북한 핵실험의 효과 / 5. 북한 핵실험의 정당성(?) / 6. 한반도 평화의 길:무엇을 할 것인가

후기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