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분단70년의 국제관계

상세내역
저자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출판연도 2016년 06월 30일
출판사 선인
쪽수 263쪽
키워드 #정책   # 의식   # 현황   # 서론   # 체제   # 대응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상세내역
저자 소개
이미지 편자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는
구갑우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양희 : 대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김흥규 :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수훈 :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혜정 :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임수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통일국제협력팀장
상세내역
주요내용
분단 70년의 세월은 이제 통일이 불가능하거나 통일을 이루지 않아도 살 만한, 오랜 세월의 분담의 힘이 켜켜이 축적되어 버릴 법한 시간이다.『분단70년의 국제관계』는 더 이상의 식상한 접근법과 문제 의식, 답안과 정책대안이 아니라 기왕의 분단과 통일을 논의하는 각 분야의 고민들을 조금 더 새롭고 이색적이게 접근해보고자 했다.

분단 70년의 세월이 지나갔다. 70년이라는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남북한은 서로 다르게 변화했으며, 분단질서는 아직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통일당위론을 내세우고 정형화된 해법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분단의 제약을 극복하고 통일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책의 필진들은 기존 통일연구 및 남북관계의 접근법과 문제의식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토대로, 분단과 통일의 논의에 대한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필진들은 우선 분단에 따른 남북한의 변화를 다양한 층위와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일련의 세미나와 기획회의를 통해 분단 70년의 한반도를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것과 더불어 기존에 논의하지 않았던 접근법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심층적으로 토의했다. 한반도 분단의 주요 당사자가 남북한이라는 점에서 남북관계의 주요 쟁점사항을 분석함과 동시에 한반도 분단을 둘러싼 국제관계라는 시각에서 고찰했으며, 사회·문화연구를 통해서 남북한의 이질적 문화와 정서가 주는 함의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서 시리즈는 분단 및 통일 관련 주요 이슈를 ‘남북관계’, ‘국제관계’, ‘남북한 사회·문화’로 분류했으며, 총 3권의 17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제3권 남북한 사회·문화 편에서는 탈북자 문제, 한류, 남북한의 양극화 등 통일과정에서 직면하고 해결해야 할 주요한 사회 이슈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먼저 정은미는 남북한 사회의 경제·사회적 양극화와 정치 양극화에 대한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남한과 북한의 양극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남한 내에서의 양극화, 북한 내에서의 양극화 등 남북한 사회의 양극화 문제가 통일 이후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 지적하고 있다. (서문 中)
상세내역
목차
미국패권과 한반도 분단 | 이혜정
Ⅰ. 서론
Ⅱ. 분단의 미스터리
Ⅲ. 해석의 틀
Ⅳ. 한반도 분단의 역사적 진화
Ⅴ. 결론: 한반도 분단 4.0 혹은 ‘잃어버린 20년’

미중관계 변화와 한국의 외교 | 김흥규
Ⅰ. 시진핑 시기 이전의 미중관계
Ⅱ.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 전략 방향의 조정
Ⅲ. ‘새로운 강대국 관계’의 수용을 둘러싼 미중관계
Ⅳ. 중국의 서진 전략과 동북아 지역에서의 미중관계 전망
Ⅴ.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진화
Ⅵ. 정책 제언

한국의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개성공단 국제화는 가능한가? | 김양희
Ⅰ. 문제제기-왜 개성공단과 FTA인가?
Ⅱ. 한국 FTA 정책과 개성공단
Ⅲ. 개성공단의 한국 FTA 네트워크 활용 현황
Ⅳ. 한국의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개성공단 국제화를 위한 과제

북핵게임, 핵무장, 그리고 한반도 안보구조의 변화 | 임수호
Ⅰ. ‘비핵화 프레임’을 넘어서
Ⅱ. 비핵화의 불가능성
Ⅲ. 북핵게임의 구조
Ⅳ. 임박한 핵무장
Ⅴ. ‘지정학적 지진’
Ⅵ. 만족스럽지 않은 대응옵션들

동북아 지역질서의 동요와 북핵문제의 성격 | 이수훈
Ⅰ. 머리말
Ⅱ. 미국 패권의 퇴조와 신흥 중국의 급부상
Ⅲ. 동북아 지정학의 동요와 6자회담의 수립
Ⅳ.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북핵 카드
Ⅴ. 맺음말

탈식민·탈패권·탈분단의 한반도 평화체제 | 구갑우
Ⅰ. 문제설정
Ⅱ. 탈식민·탈패권·탈분단의 평화체제: 이론적 논의
Ⅲ. 탈냉전·민주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Ⅳ. 대북 화해협력정책과 한반도 평화체제
Ⅴ. 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Ⅵ. 한반도 평화체제의 쟁점
Ⅶ. 한반도 평화체제의 길: 결론에 대신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