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상세내역
저자 한기호 , 손인배 , 전주람 , 조진수 , 하승희
출판연도 2024년 02월 19일
출판사 한국학술정보
쪽수 236쪽
키워드 #남북주민통합   #통일   #공존   #한기호   #손인배   #전주람   #조진수   #하승희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한기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사회화 통합이론 연구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남북관계의 현장과 이론의 조화를 중시하며, 통일부 서기관과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한국위원회 위원, (사)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이사를 역임하였고 국립외교원 제7회 학술논문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의 연구부교수(사업총괄)로 재직 중이다.

손인배
연세대학교 통일학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반도 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통일,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남북보건의료협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한반도평화연구원 행정팀장,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간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23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위원이다.

전주람
성균관대학교 가족학(가족 관계 및 교육, 가족문화)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학습·상담심리 연구교수로 2017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재직했으며,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교직부 소속으로 〈부모교육과 가족 관계〉, 〈심리검사를 활용한 심리치료〉, 〈심리학의 이해〉를 가르치고 있다. 서울가정법원 상담위원으로 2014년부터 최근까지 활동 중이며, 2022년부터는 통일부 통일교육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속적인 연구 관심사로는 가족 관계, 부부 회복, 문화갈등, 남북사회문화 등이 있다.

조진수
연세대학교 통일학협동과정에서 통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이자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이다. 또한, 통일부 산하 통일교육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최근 연구는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사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승희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이며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객원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 법학부 정치학과에서 방문연구원을 지냈으며,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북한과 통일 이슈를 미디어와 예술을 통해 읽어내는 것에 관심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접촉, 일상, 공존

전쟁의 포성이 멈추고 한반도에 분단체제가 공고화된 지 70년이 흘렀다. 서로를 소통과 공존, 나아가 통합의 대상으로 바라보기보다 미디어나 관영매체를 통해 경계의 대상으로 학습받고 소비했던 시간들에 익숙해져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치·경제·문화 등 분야별로 남북한 간의 통합방안을 찾는 것은 다소 현실과 동떨어진 낭만적인 이야기처럼 비칠지도 모른다.
이 책은 참혹했던 전쟁사 이후 분단의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의 회복적 지향에 관한 질문이다. 또한 분단 이후 한반도의 경계를 넘나들었던 북한이탈주민의 경험과 사회적 양태들에 주목하며 발견한 새로운 질문들을 통해 분단시민들의 사유(思惟)를 자극함으로 그 소임을 다하고자 한다. 총 2부, 5장의 구성 안에서 제1부(한기호, 하승희, 조진수)는 북한이탈주민 연구와 남북주민통합의 과제를 다루며, 제2부(전주람, 손인배)는 북한이탈주민의 일상생활 고찰과 다음 세대 남북사회통합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다중 정체성을 지닌 채 남한사회에서 살아가는 북한이탈주민과 다음 세대들의 목소리로 그들 자신의 단조롭지 않은 일상을 들여다봄으로써, 분단사회에 의미 있는 질문들을 도출하고 미래지향적 남북주민통합에 관한 논의를 연장하고자 하였다.
우리 사회가 ‘먼저 온 통일’이라 일컫는 이들을 환대하기에 부족함은 없는지, ‘나중 올 통일’인 북한주민들의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본 이번 기획이 후속 연구의 디딤돌이 되는 한편, 남북주민 간의 적대적 온도를 낮추고 다음 세대 간의 통합 과정에 필요한 학술적·사회적 논의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상세내역
목차
서문

〈제1부〉 북한이탈주민 연구와 남북주민통합의 과제

제1장 남북주민통합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연구의 중요성: 동향, 평가, 과제 _ 한기호
1.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이름
2. 북한이탈주민 연구의 동향
3. 북한이탈주민 연구의 평가와 과제

제2장 탈북음악인들의 국내 활동 양상과 남겨진 과제_ 하승희
1. 하나였던 음악, 두 개의 방향성
2. 클래식과 민족 음악, 두 음악인 이야기
3. 남한에서의 두 음악인
4. 함께하는 음악을 위해

제3장 장마당세대의 학교 조직생활: 북한의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 문화 변동과 남북주민통합 과제 _조진수
1. 북한에서 장마당세대의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 문화 변동
2. 개인주의, 자유주의, 집단주의, 공동체주의
3. 학생정치조직인 소년단과 청년동맹을 통한 집단주의 교양 강화
4. 장마당세대 사이에 약화되는 집단주의 문화와 태동하는 개인주의 문화
5.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 문화 변동과 남북주민통합 방향에 대한 함의

〈제2부〉 북한이탈주민의 일상생활 고찰과 다음 세대의 남북사회통합

제1장 북한이탈주민들의 일상생활 고찰: 사례로 살펴보는 탈북청년들의 생활양식과 그 의미_ 전주람
1. 탈북청년들의 일상생활 탐구와 생활양식
2. 생생한 사례로 살펴보는 탈북청년들의 생활양식과 그 의미

제2장 북한이탈주민 다음 세대의 사회정체성과 사회통합_ 손인배
1.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다음 세대
2.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다음 세대들의 사회정체성 형성
3. 북한이탈주민 다음 세대들의 인터뷰와 그 내용
4. 북한이탈주민 다음 세대들의 사회통합 과제
5. 남북출신 다음 세대들이 만들어가는 한반도의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이전글 미래한국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