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 HOME
  • 도서
  • 통일/남북관계

우리시대를 위한 통일과 평화 1: 김정은시대 북한의 이해

상세내역
저자 진희관 , 진희권 , 탁용달 , 김일한 , 이춘근 , 장철운 , 안지영 , 김창근 , 전영선 , 안병민 , 허정필
출판연도 2022년 10월 20일
출판사 늘품플러스
쪽수 450
키워드 #우리시대   #통일   #평화   #북한   #김정은   #이해   #진희관   #진희권   #탁용달   #김일한   #이춘근   #장철운   #안지영   #김창근   #전영선   #안병민   #허정필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진희관

인제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장. 인제대학교 통일학부 교수 겸 통일학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NORTH KOREA UNDERSTANDING』,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과정·엘리트·정책·안정성』,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등이 있다.

저자(글) 진희권

부산대학교 통일한국연구원 연구원. 「북한 수산업 정책 연구」로 인제대학교에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전문연구원을 거쳤으며 해양수산 분야 북한 동향과 남북협력 방안 모색에 주력하고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북한은 어떤 나라일까? 북한 사회는 우리와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우리에게 통일은 꼭 필요한 것일까? 한반도의 평화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에 살면서 우리는 평화나 통일이라는 주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기회가 없었다. ‘평화’는 필요하지만 막연하고, ‘통일’은 해야 하지만 구체적인 방법이나 시기에서는 의견이 갈린다. ‘북한’을 바라보는 시선도 매우 다양하다. 남과 북이 신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이다.
인제대학교 통일교육선도대학사업단이 매년 발간해 온 『통일교육』이 『우리시대를 위한 통일과 평화』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발간됐다. 내용면에서도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를 연구해 온 전문가의 시선을 더해 전문성을 높였다.
『우리시대를 위한 통일과 평화』 1권 「김정은시대 북한의 이해」에는 진희관, 탁용달, 김일한, 이춘근 등 북한전문가 11인이 참여해 북한의 정치와 경제, 과학기술, 교통, 사회문화, 문학과 예술, 체육 등을 설명한다.
2권 「남북관계와 통일 그리고 평화」에서는 북한에 맞춰져 있던 시선을 확장해 한반도와 동북아 전체를 바라본다. 통일부 장관을 지낸 김연철 교수가 남북관계 70년사를 정리하고, 문인철, 황교육, 진희권 등 전문가 8인이 통일과 평화의 여정을 함께한다.
한반도의 평화는 먼 미래의 일이 아니다. 지금 우리가 누려야 할 것이고, 지켜나가야 할 가치다. 『우리시대를 위한 통일과 평화』는 북한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반도에서 평화를 이루기 위한 지침서이자 길잡이가 될 것이다.
상세내역
목차
서론 북한은 어떤 나라인가!

[북한의 정치, 사회, 문화]
제1장 북한의 정치
제2장 북한의 사회주의 계획경제(북한경제 기초)
제3장 북한의 경제 김일한
제4장 북한의 과학기술정책과 핵무기 개발 동향
제5장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군대: 위상, 역할, 편제와 역량을 중심으로
제6장 북한의 사회문화 1: 영화로 만나는 청년의 삶
제7장 북한의 사회문화 2: 교육정책과 제도
제8장 북한의 문학과 예술
제9장 북한의 교통
제10장 북한의 체육

부록 1. 조선로동당 규약 전문
부록 2. 제8차당대회 사업총화보고
부록 3.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결정서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북한학 박사가 쓴 북한학 개론
이전글 남북협력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