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지금까지 독일 통일 과정에서 교회 역할이라는 주제의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뤄졌지만
통일 이후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하다. 저자는 복음주의 통일 신학을 제시하기에 앞서 현실, 사실, 꾸밈 없는 역사로부터 배워야 할 교훈을 찾는다. 민족 통일에 관한 논의가 여러 방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이데올로기 대립의 양상을 띠고 논쟁적이고 소모적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것이 정확한 평가다. 정작,구체적인 자료나 사례를 살피는 일에는 소홀하고 공허한 이론이나 선입견에 의한 단편적인 경험들로 논쟁을 다뤄왔다. 이런 추상적이고 소모적인 논의를 생산적이고 구체적인 논의가 될 수 있도록 역사 자료와 분석을 제공함으로 우리 상황에 맞는 통일 신학을 추구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
---|
목차 |
감사의 글
서론 : 책을 내면서 Ⅰ.통일 전 독일교회의 역할 '특별한 유대 관계'/사회주의 속의 교회/동독 정권의 박해/서독교회의 지원/"디아코니아 재단"의 활약/공동 행사/동독 붕괴의 이유/성경적인 통일관을 위한 자세/한국교회를 향한 일곱 가지 제안 Ⅱ.통일 후 독일교회의 통합 교회의 통합 과정/로꿈 선언/공동위원회/법적 근거/역사적 순간/중요한 합의/군목 제도에 대한 최근 합의/정리 Ⅲ.독일교회의 현 상황 일반적 상황/심리적 상황/교회 현실/통계로 본 독일 교회/민족 속의 교회/동부 교회의 현실/안할트 지역/루카우 지역/교회를 향한 기대/환상의 사라짐/정리 Ⅳ.청소년 축복식 통일과 함꼐 온 문제/공산주의의 잔재/악명 높은 존넨베르크 연설/힘을 잃은 교회/통독 후 청소년 축복식/독일교회의 입장/정리 Ⅴ.학교 신앙 교육 거세지는 저항/튀링엔의 법/독일교회의 입장/신앙 교육의 현재/브란덴부르크의 경우/독일교회의 미래/정리 Ⅵ.외국인에 대한 증오 신나치주의/폭력적 극우파/왜 미워하는가?/교회의 입장/교회의 청소년 교육/대통령의 호소/정리 Ⅶ.부흥을 외치는 교회 교회의 사명/열린 교회/섬기는 교회/터부를 깨는 교회/신학적 근거/갱신을 위한 명제/정리 Ⅷ.전도하는 교회 왜 전도인가?/복음 전파의 당위성/선교 현장의 분석/전도하는 교회/독일교회의 전도론/동부의 전도 실상/엘리트 이주/세 가지 질문/정리 Ⅸ.교회의 사회적 과업 증거와 섬김 공동체/디아코니아/디아코니아 재단의 역사/디아코니아 재단의 현재/과연 기독교적인가?/이상과 현실/디아코니아의 추구/정리 결론:이미와 아직의 통일 한국 통일 한국과 교회/탈북자들/마음의 장벽/한국교회의 과제/통일을 미리 맛보는 교회 [참고 문헌] 한국어ㅣ외국어 [부록:통일 후 독일교회가 한국교회에게 주는 25가지 명제] 통독 후 독일교회의 문제와 과업/독일교회가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 주요 용어 해설 색인 |
---|
다음글 | 로동신문을 통해 본 북한 변화 |
---|---|
이전글 | 세계화와 남북한 사회·경제 구조 변화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