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화해,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통일담론
『통일은 과정이다』는 통일문제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쟁점들을 뽑아 다룬 책이다. 통일문제를 바라보는 경험 많은 원로들의 시각과 함께 학계, 언론계, 시민사회에서 통일문제를 고민하는 분들의 글을 엄선해서 실었다. 분단체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통일 과정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접할 기회이면서 동시에 무수히 많이 제기되는 통일담론들의 옥석을 가릴 수 있는 혜안을 제공할 것이다. 분단극복과 통일시대 개척에 앞장서온 원로들이 바라보는 통일론을 비롯하여 통일세, 북한 붕괴론, 신뢰 프로세스, 통일 대박론 등 통이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쟁점을 다룬다. 통일문제에 대한 세대 간의 대화와 통일 외교ㆍ안보 현안을 둘러싼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문정인 교수,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의 지혜를 정리했다.‘시민참여형 통일’이라는 주제로 시민사회에서 통일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해온 분들의 논문도 함께 수록했다. |
---|
목차 |
서문 통일은 만들어가는 것이다
1부 내가 보는 통일 김대중의 통일 철학과 햇볕정책 _ 임동원 2013년 체제와 포용정책 2.0 _ 백낙청 통일은 구심력부터 키워야 가능해진다 _ 정세현 독일 통일의 경험이 가르쳐주는 것 _ 염무웅 한 늙은이가 평화통일의 길을 모색하다 _ 이만열 무엇이 통일인가? _ 이종석 2부 통일은 과정이다 1. 통일세 비판 해제: 북한 주민의 마음부터 얻어라: ‘뜬금없는’ 통일세 _ 황준호 통일세 논의, 왜 적절하지 않나 _ 이종석 통일세, ‘반통일 이데올로기’ 자극할 수 있다 _ 정세현 통일세를 어찌할 것인가 _ 문정인 통일 재원보다 교류협력이 우선 _ 양문수 2. 북한 붕괴론 비판 해제: 아주 오래된 농담, 북한 붕괴론 _ 이제훈 北 종말론 비나리,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워라 _ 서재정 ‘북한 붕괴론’이라는 유령 _ 김근식 남북이 함께하는 통일 준비 _ 양무진 북한 변화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_ 이우영 북한 붕괴론의 허상 _ 전현준 3.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비판 해제: 대화 없이 신뢰가 가능할까?: 길 잃은 신뢰 프로세스 _ 장용훈 종북논란과 박근혜 정부의 신뢰 프로세스 _ 김창수 신뢰 프로세스를 신뢰할 수 있게 하라 _ 서보혁 신뢰 프로세스가 작동하려면 _ 고유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운명 _ 김연철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진화해야 _ 고(故) 이봉조 4. 통일대박론 비판 해제: 세상에 공짜는 없다: 통일은 대박일까? _ 황방열 평화통일론은 안녕한가? _ 김연철 마키아벨리에게 ‘통일대박론’을 묻다 _ 문정인 시민단체의 통일준비위 자문단 참여 우려한다 _ 백학순 ‘슬로우 통일’이 진짜 ‘대박’ _ 김창수 3부 청년이 묻고 통일 원로가 답하다 ‘사실상의 통일’과 남북연합 _ 임동원 포용정책 2.0과 시민참여형 통일 _ 백낙청 4부 통일ㆍ외교ㆍ안보 총체적 위기: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야 하나?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_ 임동원 박근혜 정부 통일ㆍ외교ㆍ안보 총체적 위기: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야 하나? _ 문정인 이종석 정세현 5부 시민참여와 통일 보편주의 통일론과 인권 민주주의 친화형 남북관계의 탐색 _ 서보혁 국가와 여성평화운동 -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의 평화정치를 중심으로 _ 정현백 21세기 통일운동의 방향 탐구 - ‘슬로우 통일’과 ‘하이브리드 통일운동’ _ 김창수 박근혜 정부와 남북민간교류: 평가와 제언 _ 이승환 시민평화운동, 남북연합에 접근하다 - 통일론에서 풀어내는 교류와 평화문제 _ 정현곤 주석 |
---|
다음글 | 쉽게 풀어쓴 선진통일 이야기 |
---|---|
이전글 | 판문점 체제의 기원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