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쉽게 풀어쓴 선진통일 이야기]는 통일과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준다. 통일에 대한 이유에서부터 왜 통일을 두려워하는지, 지금 북한은 어떤 상황인지, 또 통일을 하지 못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등을 다룬다. 권말에는 통일에 대한 Q&A를 수록했다.
|
---|
목차 |
시작하는 말
1. 아, 우리나라, 어쩌다 분단이 되었을까? 2. 통일을 해야 하는 이유 (1) 무엇을 위하여 통일해야 하는가? (2) 통일에는 어떤 가치가 있을까? (3) 통일을 하면 어떤 좋은 일이 생길까? 3. 왜 통일을 두려워할까? (1) 통일이 두려운 이유 (2) 통일 비용은 걱정할 필요 없다. (3) 분단 비용만 사라져도 통일은 이익이다. (4) 독일의 실패에서 얻은 교훈 4. 언제쯤 통일을 이룰 수 있을까? 5. 지금 북한은 어떤 상황인가? (1) 북한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며 살고 있을까? (2) 통일에 대한 북한의 생각 (3) 북한이 변하는 것은 가능할까? 6. 통일을 못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1) 북한의 중국화가 우려된다. (2) 북한이 중국화 한다는 주장의 근거 (3) 통일을 못한 한반도의 미래 7. 우리의 소원은 ‘선진화 통일’ (1) 선진화 통일의 특징 (2) 선진화 통일의 원칙 (3) 북한이 주장하는 통일의 원칙 (4) 선진화 통일의 네 단계 (5) 통일 이후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가치와 사상 8. 통일을 위해 어떤 대북 정책이 필요할까? (1) 봉쇄와 억제 전략 (2) 원칙과 관여 전략 (3) 포용과 통합 전략 9. 통일을 위해 외교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통일 외교란 무엇인가? (2) 통일된 후 한반도가 어떻게 변할지 말해야 한다. (3) 어떻게 해야 통일 외교가 성공할 수 있을까? (4) 미국에는 어떤 전략으로 대해야 할까? (5) 중국에는 어떤 전략으로 대해야 할까? (6) 일본에는 어떤 전략으로 대해야 할까? (7) 러시아에는 어떤 전략으로 대해야 할까? (8) 통일을 전후한 우리의 외교 안보 전략 10. 급변 사태에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1) 급변 사태 이후 예상되는 상황 (2) 중국의 개입은 막아야 한다. (3) 우리가 북한에 개입하기 위한 준비 (4) 급변 사태에 대비한 군사적 준비 (5) 북한의 핵무기 사용에 대한 대비 11. 오늘, 통일을 위해 무엇을 준비할까? (1) 통일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2) 신라의 통일에서 교훈을 얻는다. (3) 올바른 통일관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4) 민족을 하나로 묶을 통일 사상이 필요하다. (5) 통일 후 어떤 세상이 올까? (6) 민간이 해야 할 통일 운동 12. 미리 만나보는 즐거운 통일 (1) 통일 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변화들 (2) 통일 후 어떤 직업이 유망할까? (3) 통일된 우리 조국, 어디부터 가볼까? 13. 통일에 대한 Q&A |
---|
다음글 | 독일통일총서 10 - 통일비용분야 |
---|---|
이전글 | 통일은 과정이다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