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빙하처럼 얼어붙은 한반도 냉전,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이 쓴 치밀한 외교 현장 기록.
2005년 9ㆍ19공동성명을 이끌었던 전 외교부장관 송민순의 외교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 분단 역사를 극복하려는 시도는 늘 북한의 ‘핵’이라는 암초에 걸려 넘어지고, 그 밑에는 빙하처럼 얼어붙은 한반도 냉전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오랜 대내외적 현실이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북한 핵과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장전으로 불리는 9ㆍ19공동성명의 합의와 이행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 외교가 어떻게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미래를 움직이는 지렛대가 될 수 있을지 그 비전을 제시한다. 1976년 판문점 도끼사건부터 1992년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1994년 제네바 합의, 2005년 4차 6자회담, 2007년 10ㆍ4남북정상선언 같은 굵직한 계기를 징검다리 삼아 경수로, BDA 제재, 군사작전권 회수, 사드(THAAD) 배치, 소고기 협상 등 중요한 외교 쟁점을 폭넓게 아우르는 이 책은 외교관이자 공직자인 개인의 회고록으로서 자신의 할 일과 나아갈 길을 분명히 아는 프로페셔널리즘의 빛나는 순간들을 담고 있기도 하다. 노무현, 반기문, 조지 W. 부시, 콘돌리자 라이스와의 일화를 비롯해 협상 공간과 사석에서 마주친 외교전문가들에 대한 스케치는 역사적 현장의 생생함을 더한다. |
---|
목차 |
머리말 미래를 움직이는 바람
프롤로그 역사는 우리 손으로 제1부 제1장 북한 핵과 한반도 문제 판문점 도끼사건 / 카프카가 안겨준 숙제 / 분단의 현장, 베를린 / 구룡강변의 가구공장 / 영변 약산의 진달래꽃 / 지상으로 올라온 핵 제2장 1차 핵 위기 북한의 위기의식 / 제네바 합의의 명암 / 급변사태에 대비하라 / 한반도 평화 4자회담 제3장 한ㆍ미 정부의 박자 조율: 김대중 정부의 외교 햇볕정책, 대포동1호, 금창리 / 페리 프로세스 / 2000년 남북 정상회담 / 북ㆍ미관계, 짧은 해빙과 긴 겨울 / 과거 정책 뒤집기 제2부 제4장 2차 핵 위기 양자에서 4자로, 4자에서 6자로 / 1차 회담: 너무 먼 거리, 헛도는 바퀴 / 2차와 3차 회담: 완전한 비핵화 vs 완전한 관계 정상화 / 노무현과 부시 / 4차 6자회담의 주역들 / 4차 6자회담의 개막 / 창안클럽의 탐색 제5장 9ㆍ19공동성명 6자의 최대공약수 / 비핵화의 쟁점: 한반도 비핵화와 경수로 / 남ㆍ북ㆍ미 회동, 내가 왜 중매꾼이냐 / 북한의 카드 / 일본을 먼저 움직이다 / 기회의 창을 열어두다 / 한국과 미국, 정면 대좌하다 / 북한의 우라늄농축 계획, 있다 없다 / 남북 상호사찰하자 / 평화체제 수립하자 / 북ㆍ미관계 정상화하자 /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합의 제6장 공동성명 이행의 난관 철 이른 계획 / 5차 회담, 예견된 난관들 /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의 덫 제3부 제7장 북한 핵과 한ㆍ미동맹의 저울 같은 목표, 다른 속도 / “안보실장 잘못 뽑았네요” / 한국의 시차 접근 구상과 미국의 포괄적 구상 / 작지만 큰 BDA의 돈, 크지만 취약한 6자의 배 / 에스 플랜 제8장 공동의 포괄적 접근 왜 대통령을 이기려 드느냐 / 2+2로 만나자 / 공동의 포괄적 접근 방안(CBA) / 노무현과 부시, 10개월 만에 마주 웃다 / 유엔사무총장과 라이스 플랜 / 북한 핵의 시계는 똑딱거리는데 제9장 북한의 1차 핵실험 베이징에서 날아온 다급한 목소리 / 확장된 공동의 포괄적 접근 방안 / “경수로 뺏어오고 핵실험 내주었다” / 언론보도의 역풍: ‘미국은 전쟁광’의 진위 / PSI 참여가 한ㆍ미 공조의 척도로 /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한반도 평화체제 제10장 2ㆍ13합의로 가는 길 외교장관으로서의 첫발 / 5차 6자회담의 재개 / 미ㆍ북 베를린 접촉 / 2ㆍ13합의 / ‘한반도 대설계’ /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2,500만 달러’ / 동북아시아 안보대화를 위한 발판 / 한ㆍ미ㆍ일 공조와 한ㆍ중ㆍ일 3자 협의체 발족 제4부 제11장 북한 핵과 남북 정상회담 아프간 인질 사건 / 남북 정상회담 추진 / 가팔라지는 언덕과 6자 외교장관 회담 / 비핵화, 종전선언, 평화체제 / 2007년 남북 정상회담 / 한국과 미국, 임기 말의 욕구 / 시리아의 경우와 한반도 군사행동 시나리오 / 소고기 협상, 같은 말 다른 해석 제12장 시작만 있고 끝은 없는 대북정책 북한 인권, 흔들린 원칙 / 미국, 북한 군수공장에 / 한ㆍ미는 머리를 맞대는데 한국의 신ㆍ구 정부는 / 이명박 정부, 배를 돌리다 / 잃어버린 카드 제13장 한반도의 운전대: 군사작전권 3년이라는 시간이 무한의 시간으로 / 군사적 판단과 정치적 이유 / 작전권과 북한 핵 / 미사일방어망(MD), 사드(THAAD) 그리고 미국 군수산업 제14장 핵을 넘어 통일로 가는 길 정치적 이해관계와 선악 개념의 결합 / 일말의 희망, 이란과 북한 / 북핵 문제 해결, ‘가능성의 예술’ 에필로그 좌절이 주는 교훈 / 통일은 당위가 아니라 힘을 요구한다 / 비핵화와 평화체제, 하나의 선로에 올리자 부록 제4차 6자회담 공동성명(9ㆍ19공동성명) 국문 및 영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감사의 말 |
---|
다음글 | 국내적 통일준비 역량 강화 방안 |
---|---|
이전글 | 베를린장벽의 서사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