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경제/과학

  • HOME
  • 도서
  • 경제/과학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동향과 우리의 대응 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

상세내역
저자 채수란 , 엄단비 , 박예나 , 이기완 , 홍제환
출판연도 2024년 12월 31일
출판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쪽수 181
키워드 #국제   #사회   #대북   #제재   #해양   #수산   #채수란   #엄단비   #박예나   #이기완   #홍제환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채수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 북방극지전략연구실 전문연구원
고려대학교 북한학 박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위촉연구원 (전)

저서
“Mysterious Pyongyang:Cosmetics, Beauty Culture and North Korea” (2020) 등

-저자(글) 엄단비
출간작으로『국제사회의대북제재동향과우리의대응:해양수산분야를중심으로』등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도서 PDF 받기:_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동향과 우리의 대응: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

 본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동향과 우리의 대응: 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는 현재 강화된 대북제재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직면한 해양수산분야의 도전과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상에서의 불법 활동을 중심으로 북한의 제재 회피 행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였습니다.

 대북제재는 북한의 경제적 압박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도모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유엔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제재 동향을 분석하고,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와 이에 따른 경제적, 정치적 영향을 다루어 우리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양수산분야는 대북제재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며, 북한의 불법적인 해상 활동은 국제사회의 제재 이행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제언함으로써 우리나라가 대북제재 이행에 있어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세내역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4
제3절 연구내용과 방법 8

<제2장 대북제재의 법적 근거와 메커니즘> 11
제1절 유엔 대북제재의 법적 근거 11
제2절 독자제재의 법적 근거 23
제3절 독자제재의 주요 내용 25
제4절 대북제재와 시리아·이란·쿠바 제재 비교 43
제5절 소결: 각 제재의 상호보완적 관계 48

<제3장 대북제재가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53
제1절 개요 53
제2절 이론적 논의 55
제3절 2016~2019년 대북제재와 북한경제 58
제4절 2020~2023년 대북제재와 북한경제 65
제5절 소결: 대북제재의 효과와 한계77

<제4장 해양·수산분야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와 우리의 대응> 81
제1절 개요 81
제2절 2016~2019년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 87
제3절 2020~2023년 진화된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 105
제4절 제재 위반에 대한 우리의 대응 현황 121
제5절 소결 125

<제5장 앞으로의 대응 방안> 127
제1절 국제적 차원의 대응 방안 127
제2절 국내적 차원의 대응 방안 137
제3절 소결: 대북제재 이행의 실효성 확보와 향후 과제 140

<제6장 결론> 143
제1절 요약 143
제2절 정책제언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