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무역학과 2학년 전공과목인 ‘동아시아와 통일한국 경제’의 학습을 위해 집필하였다. 세계 경제의 중심축이 된 한국, 중국, 일본, 아세안 지역에 대한 학습은 세계 경제의 흐름과 무역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제2차 세계대전 패망 직후 일본의 경제상황은 폐허에 가까웠다. 그러나 미국의 원조와 국가 주도의 강력한 산업정책 및 수출장려정책 등을 통해 빠르게 경제를 복구해 갔으며, 1945년 패전으로부터 약 25년 후인 1970년경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경제규모를 가진 국가로 성장하였다. 1990년대 초반 경제개방정책을 취한 중국은 빠르게 성장을 이어가 20년 후인 2010년 GDP 기준 경제규모에 있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국가로 성장하였다. 중국은 2018년 기준 한국의 교역상대 1위국이며 한국 전체 무역량의 약 27%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대 들어 아세안 지역은 세계 경제에 있어 새롭게 떠오르는 주요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정부 역시 신남방정책을 표방하여 아세안과 상호협력의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여 한국 경제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하고자 노력 중이다. 이상의 내용에 추가로 통일한국 경제를 다루고 있다. 최근 한국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또한 미국과 북한은 휴전 상태를 끝내고 종전 협정을 맺기 위해 협상 중이다. 한층 더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을 바라는 한국과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북한에게 통일에 대한 경제적 접근은 좋은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경제적 이해관계로만 통일문제에 접근하는 것은 이후 여러 측면에서 부작용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경계하기 위해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 국민이 통일 및 주요 정치현안에 대해 어떤 의식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도 함께 포함하였다. |
---|
목차 |
<제1부 일본 경제 이해>
제 1 장 일본의 전후 복구와 경제성장 제 2 장 일본 경제의 침체와 구조개혁 제 3 장 일본의 금융위기: 한국 IMF 외환위기와의 비교 <제2부 중국 경제 이해> 제 4 장 중국 경제의 역사적 접근: 모택동과 등소평 시기 비교 제 5 장 중국의 경제 기적 제 6 장 4차 산업혁명 속의 중국과 한국의 산업: 경쟁과 협력 제 7 장 중국 경제의 과거, 현재, 미래: 경제추격론의 관점 <제3부 아세안 경제 이해> 제 8 장 아세안 지역 개관: 사회, 문화, 역사를 중심으로 제 9 장 아세안 지역 경제의 특성과 한 · 아세안 경제협력 제 10 장 아세안경제공동체의 출범과 역내 기업환경 <제4부 경제 통일을 향해> 제 11 장 북한의 사회문화 제 12 장 북한의 산업과 경제개발구 제 13 장 북한의 교통 · 물류 인프라와 한반도 통합철도망 제 14 장 한반도 신경제 구상 제 15 장 통일 관련 의식조사 참고문헌 |
---|
다음글 | 북한 경제·사회 실태 인식보고서 영문보고서 |
---|---|
이전글 | 통일을 대비한 북한도시 개발 구상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