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신남북경제협력 기업전략』은 한반도 신경제협력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남북한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를 심도 있게 분석한 책입니다. 저자들은 신남북경협을 위한 기업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제1부는 남북경제협력의 대내외 환경 분석에 대해서 다룹니다. 제1장에서 오종문 박사는 ‘한반도 국내외 정세변화 영향’에서 한반도의 정세 변화와 글로벌 경제 흐름 속에서 남북교역의 역사적 의의와 잠재력을 재조명합니다. 특히, 남북 간 교역이 평화와 번영을 촉진하는 핵심 동력임을 강조합니다. 제2장에서 김종경 이사는 ‘글로벌 신산업 현황과 신남북경제협력 기회’에서 디지털 전환, 재생 가능 에너지, 바이오테크놀로지 등 신성장 동력을 중심으로 남북경제협력이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탐구합니다. 제2부 남북경제협력 재개 환경 및 사례 분석을 위해 제3장에서 장영주 박사는 ‘북한의 지역거점 개발식 경제개방정책과 남북경협’에서 북한의 지역 거점 개발 정책과 동북아 개발협력의 상징거점으로 라선경제무역지대를 예로 들면서 신남북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했습니다. 제4장에서 전인복 경영지도사는 ‘개성공단 사례 분석’에서 개성공단이 가진 경제협력의 중요성과 투자여건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개성공단의 중단 및 한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제2 개성공단에 대한 제안을 통해 개성공단의 재개는 경제 활성화와 남북 간 신뢰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고 주장했습니다. 제3부 신남북경제협력 대응을 위한 기업전략 제5장에서 김규일 대표는 ‘신남북경협 기업전략 수립’을 통해서 지속 가능한 녹색 성장과 저탄소 협력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실현 가능한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신남북경제협력 기업전략』은 남북경제협력을 논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통해 한반도가 글로벌 경제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을 제공합니다. 기업인, 정책결정자, 연구자, 학생 등에게 남북관계와 경제협력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
목차 |
[제1부]: 남북경제협력의 대내외 환경 분석
제1장: 한반도 국내외 정세변화와 영항 (오종문) 3 1절. 남북교역 역사 및 현황 3 2절. 정세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21 제2장: 글로벌 신산업 현황과 신남북경제협력 기회 (김종경) 44 1절. 글로벌 신성장동력 추진 현황 44 2절. 한반도 신성장동력 추진 현황 64 3절. 신남북경제협력의 기회 77 [제2부]: 남북경제협력 재개 환경 및 사례 분석 제3장: 북한의 지역거점 개발식 경제개방정책과 남북경협 (장영주) 93 1절. 지역별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를 활용한 남북경협 실현 93 2절. 동북아 개발협력의 상징거점: 나선경제무역지대 119 3절. 신남북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 149 제4장: 개성공단 사례 분석 (전인복) 157 1절. 개성공단 경제협력 개요 157 2절. 개성공단 기업의 투자여건 163 3절. 개성공단 기업의 생산환경 169 4절. 신남북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 182 [제3부]: 신남북경제협력 대응을 위한 기업전략 제5장: 신남북경협 기업전략 수립 (김규일) 193 1절. 신남북경협 비전 및 목표 197 2절. 신남북경협 전략 수립 203 3절. 전략 실행방안 수립 229 4절. 사업계획서 작성 248 |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
이전글 | 북한경제는 죽지 않았습니다만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