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우리 말과 글에 대한 문제들,
국어학자 홍윤표 교수의 40년 고민의 흔적 국어학회, 한국어전산학회, 국어사학회, 한국어학회, 한국사전학회, 국어심의회, 겨레말큰사전 남측 편찬위원회 등이 수장을 역임하며 이끌었던 국어학자 홍윤표 교수가 한글, 남북 언어, 사전, 국어 정보화, 한글 문헌, 어문생활사 등에 관해 40년간 연구했던 성과를 한데 모아 엮었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저자가 국어학자로 연구를 해 오면서 들었던, 국어란 과연 무엇인지, 왜 연구하는지, 그 방법과 의도는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한 결과물들로, 국내를 포함하여 중국, 일본, 독일, 체코,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캐나다 등 그간 200회 이상의 국내외 발표문들 중에서 엄선하여 이 책을 엮었다. 저자는 전 세계에서 한국어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이 남한, 북한, 중국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 사용 지역의 범위를 남한의 언어, 북한의 언어 그리고 중국의 조선어로까지 넓혀야 한다고 생각했고, 한국어를 연구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가 중요함을 역설했으며, 언어 사용은 인간 생활과 직결되므로 한국어 연구의 범위를 어문생활로까지 넓혀야 한다는 주장을 해 왔다. 특히 의사전달의 기본 단위인 어휘에 더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제1부는 ‘한글’에 관한 것으로 연구 과제, 접근 방안, 미래, 옛한글의 개념, 옛한글 자모의 선정 및 배열 등에 관한 발표문들로 구성된다. 제2부는 ‘남북 언어 문제’를 다루는데, 남북 학술 교류의 역사와 과제,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남북한 의학용어 통일의 과제와 방안, 남북 의학용어 사전 편찬에 대한 제언, 남북한 전산 용어의 사용실태와 통일 전망, 남북 자모순 통일 방안 등에 대해 다룬다. 제3부는 ‘국어사전’에 관한 글 두 편을 실었는데, 한국의 사전 편찬 현황과 겨레말큰사전, 국어 사전의 가치와 역사, 활용방안이 주된 논의 주제이다. 제4부 ‘국어 정보화’에서는 ISO/IEC 10646-1의 한글 자모, 어문 말뭉치 구축의 회고와 전망, 한국학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 어문정보학회의 과제 등에 대한 발표문들을 모았다. 제5부는 ‘한글 문헌’에 관한 논의로, 한국 언어문학 새 자료의 발굴과 공유, 한글 문헌 편집 및 출판의 발전 과정 등 두 편의 발표문이 수록돼 있다. 마지막 제6부는 ‘어문생활사’에 관한 발표문 세 편으로, 그 주제는 조선시대 어문생활사, 한글 생활사 기록문화의 현황과 수집, 정리방안, 국어학 연구를 통한 국어 문화 증진 방안 모색이다. |
---|
목차 |
머리말
제1부 한글 1. 한글에 대한 연구 과제 2. 미래 문화ㆍ문명의 발전을 위한 한글 접근 방안 3. 21세기 한글의 미래 4. 옛한글의 개념에 대하여 5. 옛한글 자모의 선정 및 배열에 대하여 제2부 남북 언어 문제 1. 언어 문제에 대한 남북 학술 교류의 역사와 앞으로의 과제 2.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3. 남북한 의학용어 통일의 과제와 방안 4. 남북 의학용어 사전 편찬에 대한 제언 5. 남북한 전산 용어의 사용실태와 통일 전망 6. 남북 자모순 통일 방안 제3부 국어사전 1. 한국의 사전 편찬 현황과 겨레말큰사전 2. 국어사전, 그 가치와 역사 그리고 활용방안 제4부 국어 정보화 1. ISO/IEC 10646-1의 한글 자모에 대한 검토 2. 어문 말뭉치 구축의 회고와 전망 3. 한국학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 4. 어문정보학회의 과제 제5부 한글 문헌 1. 한국 언어문학 새 자료의 발굴과 공유 2. 한글 문헌 편집 및 출판의 발전 과정에 대하여 제6부 어문생활사 1. 조선시대 어문생활사 2. 한글 생활사 기록문화의 현황과 수집, 정리방안 3. 국어학 연구를 통한 국어 문화 증진 방안 모색 홍윤표 발표 목록 |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
이전글 |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 교육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