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국어 어문 문제 연구

상세내역
저자 홍윤표
출판연도 2025년 03월 20일
출판사 태학사
쪽수 656
키워드 #국어   #어문   #연구   #한글   #남북   #언어   #국어사전   #홍윤표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홍윤표(洪允杓)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ㆍ박사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연세대학교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 국어학회 회장, 한국어전산학회 회장, 국어사학회 회장, 한국어학회 회장, 한국사전학회 회장,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장, 국어심의회 정보화분과 위원장, 국어심의회 언어정책분과 위원장, 국어심의회 전체 부위원장, 겨레말큰사전 남측 편찬위원장,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위원장 등을 지냈다. 동숭학술연구상, 세종학술상, 일석국어학상, 외솔상, 수당상, 용재상 등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옥조근정훈장,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국어사문헌자료연구 1』, 『근대국어연구 1』,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국어정보학』, 『한글 이야기 1ㆍ2』, 『17세기 국어사전』(공편), 『조선 후기 한자어휘 검색사전』(공편), 『한글』, 『한자 학습 문헌자료 연구』, 『한글 서예와 한글 서체』, 『근대국어연구』(개정증보판), 『국어 어휘론』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15세기 국어의 격연구 등 16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우리 말과 글에 대한 문제들,
국어학자 홍윤표 교수의 40년 고민의 흔적


 국어학회, 한국어전산학회, 국어사학회, 한국어학회, 한국사전학회, 국어심의회, 겨레말큰사전 남측 편찬위원회 등이 수장을 역임하며 이끌었던 국어학자 홍윤표 교수가 한글, 남북 언어, 사전, 국어 정보화, 한글 문헌, 어문생활사 등에 관해 40년간 연구했던 성과를 한데 모아 엮었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저자가 국어학자로 연구를 해 오면서 들었던, 국어란 과연 무엇인지, 왜 연구하는지, 그 방법과 의도는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한 결과물들로, 국내를 포함하여 중국, 일본, 독일, 체코, 뉴질랜드, 오스트리아, 캐나다 등 그간 200회 이상의 국내외 발표문들 중에서 엄선하여 이 책을 엮었다.

 저자는 전 세계에서 한국어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이 남한, 북한, 중국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어 사용 지역의 범위를 남한의 언어, 북한의 언어 그리고 중국의 조선어로까지 넓혀야 한다고 생각했고, 한국어를 연구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가 중요함을 역설했으며, 언어 사용은 인간 생활과 직결되므로 한국어 연구의 범위를 어문생활로까지 넓혀야 한다는 주장을 해 왔다. 특히 의사전달의 기본 단위인 어휘에 더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제1부는 ‘한글’에 관한 것으로 연구 과제, 접근 방안, 미래, 옛한글의 개념, 옛한글 자모의 선정 및 배열 등에 관한 발표문들로 구성된다. 제2부는 ‘남북 언어 문제’를 다루는데, 남북 학술 교류의 역사와 과제,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남북한 의학용어 통일의 과제와 방안, 남북 의학용어 사전 편찬에 대한 제언, 남북한 전산 용어의 사용실태와 통일 전망, 남북 자모순 통일 방안 등에 대해 다룬다. 제3부는 ‘국어사전’에 관한 글 두 편을 실었는데, 한국의 사전 편찬 현황과 겨레말큰사전, 국어 사전의 가치와 역사, 활용방안이 주된 논의 주제이다. 제4부 ‘국어 정보화’에서는 ISO/IEC 10646-1의 한글 자모, 어문 말뭉치 구축의 회고와 전망, 한국학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 어문정보학회의 과제 등에 대한 발표문들을 모았다. 제5부는 ‘한글 문헌’에 관한 논의로, 한국 언어문학 새 자료의 발굴과 공유, 한글 문헌 편집 및 출판의 발전 과정 등 두 편의 발표문이 수록돼 있다. 마지막 제6부는 ‘어문생활사’에 관한 발표문 세 편으로, 그 주제는 조선시대 어문생활사, 한글 생활사 기록문화의 현황과 수집, 정리방안, 국어학 연구를 통한 국어 문화 증진 방안 모색이다.
상세내역
목차
머리말

제1부 한글
1. 한글에 대한 연구 과제
2. 미래 문화ㆍ문명의 발전을 위한 한글 접근 방안
3. 21세기 한글의 미래
4. 옛한글의 개념에 대하여
5. 옛한글 자모의 선정 및 배열에 대하여

제2부 남북 언어 문제
1. 언어 문제에 대한 남북 학술 교류의 역사와 앞으로의 과제
2.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3. 남북한 의학용어 통일의 과제와 방안
4. 남북 의학용어 사전 편찬에 대한 제언
5. 남북한 전산 용어의 사용실태와 통일 전망
6. 남북 자모순 통일 방안

제3부 국어사전
1. 한국의 사전 편찬 현황과 겨레말큰사전
2. 국어사전, 그 가치와 역사 그리고 활용방안

제4부 국어 정보화
1. ISO/IEC 10646-1의 한글 자모에 대한 검토
2. 어문 말뭉치 구축의 회고와 전망
3. 한국학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
4. 어문정보학회의 과제

제5부 한글 문헌
1. 한국 언어문학 새 자료의 발굴과 공유
2. 한글 문헌 편집 및 출판의 발전 과정에 대하여

제6부 어문생활사
1. 조선시대 어문생활사
2. 한글 생활사 기록문화의 현황과 수집, 정리방안
3. 국어학 연구를 통한 국어 문화 증진 방안 모색

홍윤표 발표 목록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정치·사회 사상과 통일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