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적군묘지 앞에서

상세내역
저자 구상
출판연도 2024년 11월 02일
출판사 나무와숲
쪽수 136
키워드 #시   #시집   #시인   #구상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구상

1919년 9월 16일 서울 이화동 출생. 동서양의 철학이나 종교에 조예(造詣)가 깊어 존재론적·형이상학적 인식에 기반한 독보적인 시세계를 이룩한 시인. 현대시의 고비마다 강렬한 역사의식으로 사회현실에 문필로 대응, 남북에서 필화(筆禍)를 입고 옥고를 치르면서까지 지조를 지켜 온 현대 한국의 대표적인 전인적 지성이다. 본명은 구상준(具常俊). 원산 근교 덕원의 성 베네딕도 수도원 부설 신학교 중등과 수료 후 일본으로 밀항, 1941년 일본 니혼 대학(日本大) 전문부 종교과 졸업. 1946년 원산에서 시집'응향(凝香)' 필화 사건으로 월남. '북선매일신문'기자생활을 시작으로 하여 20여 년 넘게 언론인으로 활동하면서 시와 사회평론을 씀. 자유당 정권 때 반공법 위반 혐의로 투옥되어 1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난 후 문학의 길을 가기로 결심하고, 이후 시쓰기와 함께 후학들을 가르치며 한평생을 보냈다. 하와이대학교 극동어문학과 교수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대우교수와 예술원 회원 등을 지냈다. 시집으로는 《초토의 시》, 《까마귀》, 《구상》,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구상 시 전집》, 《홀로와 더불어》 등이 있고, 사회평론집 《민주고발》과 수필집 《삶의 보람과 기쁨》, 《영원 속의 오늘》 등이 있다. 2010년에는 구상문학총서(전 10권)가 완간되었다. 노벨문학상 본선 심사에도 두 번이나 올랐으며, 그의 시는 프랑스·영국·독일·스웨덴·일본·이탈리어로도 번역·출판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1955년 금성화랑무공훈장, 1957년 서울시문화상, 1980년 대한민국 문학상, 1993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국민훈장 동백장 등 수상. 2004년 5월 11일 작고, 금관 문화훈장에 추서.
상세내역
주요내용
구상 시인 서거 20주기 기념 ‘전쟁과 평화의 시’ 모음집
전인적 인간애와 평화를 희구한 ‘사랑과 평화의 도자(渡者)’


 노벨문학상 본선 심사에 두 차례나 오르고 세계 200대 시인의 반열에 올랐던 구상 시인의 서거 20주기를 맞아 그의 ‘전쟁과 평화의 시’를 묶은 시집 《적군묘지 앞에서》가 발간되었다. 또한 구상문학관이 있는 경북 왜관에는 ‘구상-이중섭 우정의 거리’가 조성되고, 그가 생전에 산책하고 사색하던 여의도 한강변에는 서울시 명예도로인 ‘구상시인길’이 열렸다.

 구상은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나 일제의 폭압과 태평양전쟁, 한국전쟁, 그리고 4·19와 5·16, 이후 경제개발 시대와 민주화 시대를 거쳐 2000년대 문화 융성기를 살다 갔다. 그야말로 격동의 한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삶을 살다 간 것이다. 특히 한국전쟁 기간에는 국방부 정훈국 소속 종군기자로 전장을 누비고 다녔다. 그래서인지 그의 시 중에는 전쟁과 평화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겨 있는 시가 유독 많다. 한반도에 다시금 전쟁의 암울한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는 지금, 그의 시를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다.
상세내역
목차
발간사 _ 이상국
서시 _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100

1부 초토의 시

초토의 시 · 1
초토의 시 · 4
초토의 시 · 8 ― 적군묘지 앞에서
초토의 시 · 9
초토의 시 · 12
초토의 시 · 13 ― 송영보(送迎譜)
초토의 시 · 15

2부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26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27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28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29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0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1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2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3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4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5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6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7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8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39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40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41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42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43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44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45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71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 72

3부 그 밖의 연작시와 단시

밭 일기 · 2
밭 일기 · 45
까마귀 · 7
까마귀 · 11
그리스도 폴의 강 · 32
그리스도 폴의 강 · 65
꽃자리
입버릇
발현(發顯)
발길에 차인 돌멩이와 어리석은 사나이와
고모역(顧母驛)
송악(松嶽) OP에서

종시 _ 창세기의 재음미
작품해설 _ 김재홍 ‘생성’과 ‘긍정’의 비대립적 시 세계

구상 시인 연보
저작 연보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북한 도시 이해
이전글 소년 빨치산 김영승과 그의 동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