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현재 한국기독교와 세계기독교연맹산하의 모든 기독교단위들에서 복음통일을 위시한 북한선교를 제시하면서도 형태만 있고 실체는 없는 실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 정통성에 벗어난 형이상학적 현상들을 조심스럽게 분석하면서 북한을 향한 복음통일은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서만 관철될 수 있다는 심오한 문제를 제시하였다. 하여 저자는 이 책에서 북한선교의 기본이 무엇이며 , 북한선교의 중심을 명백하게 설정하고 북한선교의 방향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명확히 밝혀 놓았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하여 한반도를 향한 복음통일의 시대적 사명과 순간에 대비하기 위해 기독교인들 스스로가 성경속 말씀의 진리를 제대로 이행해야 한다는것을 보다 심오하게 간절하게 강조하고 있다.
|
---|
목차 |
차례
들어가는 말(대표저자)/ 3, 나가는 글/ 238 감사의 글(김정원)/ 8, 저자소개/ 239 PART Ⅰ 북한선교의 기본 제1장 북한은 어떤 사회인가 19 1. 북한 사회의 일반적 이해 19 2. 북한의 사회적 변동 28 3. 김정은의 북한 36 제2장 북한 사람은 어떤 사람들인가 47 1. 북한 사람들은 도마와 같은 사람들 47 2. 북한 사람들은 훈령대로 사는 사람들 48 3. 북한 사람들은 애국으로 사는 사람들 50 4. 북한 사람들은 선행을 실천하는 사람들 50 제3장 김일성 종교와 목사들 52 1. 김일성 종교의 형성과정 52 2. 김일성은 누구인가? 김정일의 논리 56 3. 김일성의 목사들 61 제4장 종교의 완성국 북한 63 1. 훈령이 살아있는 북한 63 2. 북한의 종교현황 66 3. 북한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 78 PART Ⅱ 북한선교의 중심 제5장 북한의 지도사상에 대한 성서적 관찰과 분석 91 1. 북한의 지도사상 91 2. 북한의 조직체계 100 3. 십계명과 10대원칙 105 제6장 북한선교의 중심 109 1.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8:32) 109 2. 이 땅에 먼저 온 탈북민들 114 3. 북한선교는 민족선교 116 제7장 북한선교의 장벽 127 1. 제한된 정보접근 127 2. 사대주의와 교조주의 129 3. 북한 사람들의 투철한 혁명정신 133 제8장 북한선교의 빛과 소금 139 1. 통일독일의 주요사변 139 2. 복음통일은 실천 141 3. 북한선교는 마음의 통일 146 PART Ⅲ 북한선교의 방향 제9장 북한선교의 선구자 탈북민 155 1. 북한이탈주민 개요 155 2. 탈북민의 사명감과 정체성 회복 163 3. 북한선교 실천을 위한 사역자 양육확대 168 제10장 북한식 선교훈련 171 1. 세뇌된 주체사상을 하나님의 사상으로 171 2. 올바른 하나님의 일꾼 172 3. 북한 사람들에게 맞는 훈련방법 176 제11장 북한선교의 중심대상 179 1. 탈북민과 그 가족 및 친인척 179 2. 당 간부들 182 3. 북한 군인들 187 제12장 북한선교는 실천 193 1. 북한선교는 사명 193 2. 탈북민 교회는 북한선교 훈련장 199 3. 북한을 향한 선교 204 제13장 한반도의 기독교 역사 211 1. 최초 기독교 선교사 알렌 211 2. 교육의 공헌자 언더우드 선교사 213 3. 첫 교육시설 설립자 아펜젤러 선교사 215 4. 조선을 최초로 방문한 귀츨라프 217 5. 첫 순교자 토마스 선교사 219 6. 조선의 최초 기독교 선구자들 222 부록 232 |
---|
다음글 | 해방 후 8년간의 북한문학의 형성과 전개 |
---|---|
이전글 | MZ세대의 통일의식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