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북한과 선교

상세내역
저자 노희창 , 김정원
출판연도 2024년 10월 30일
출판사 봉화출판사
쪽수 243
키워드 #북한   #선교   #사회   #김일성   #종교   #교회   #탈북민   #노희창   #김정원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노희창
북한에서 노동당중앙위원회 행정부 대외건설지도국 소속 당비서로 근무하던중 장성택부장의 숙청이라는 "정치적 난" 으로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북한의 노동당 정치인이었다.
저자는 북한에서 체계적으로 노동당의 교육을 받으며 자라나 10년간의 군복무를 거쳤고, 김일성종합대학 지질대학에서 지질공학을 전공하고 토목엔지니어, 지질공학 박사로서 30년간 북한의 국내건설과 대외건설분야에서 당사업을 지도해오면서 중동과 유럽에서 10여년간 대외건설사업을 수행하여 왔다.
2015년 북한의 김정은의 고모부이며 노동당 행정부 부장이었던 장성택의 숙청이 진행되면서 측근으로 지명되어 국내로 체포송환되기전에 동료들의 도움으로 현지를 이탈하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영적수련의 길을 체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생의 50년간 너무나도 깊이 세뇌된 노동당의 정치인으로서 하나님과의 만남은 쉽지만은 않았으며 저자는 거듭거듭 부정하며 성령의 손길을 뿌리쳐보려 하였으나 주님은 한번맺은 약속의 손을 놓지않으셨고 마침내 저자를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목회신학을 공부하면서 진리를 깨우칠수있도록 그의 운명을 바로 잡아주셨다. 주님의 뜻을 늦게 나마 깨달은 저자는 마침내 주님의 품에 안기게 되었으며, 비록 2년밖에 안되는 성령추앙의 길이지만 주님이 주시는 성령의 지혜와 깨달음으로 북한과 한국의 선교를 돌아보면서 민족선교의 뿌리가 마른 현 기독교를 분석하면서 이 책을 내놓게 된다.
저자는 현재 사단법인 한반도개발연합 회장, 국제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특임교수, 북한선교실천연합 회장으로 역임하고 있다.

-저자(글) 김정원
대한민국에 입국하여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에서 '통일과 사회복지'에 대한 강의를 하였고 2017년에 하나님께 서언하였던 주님의 종으로 부르심을 받고 2022년 6월 25일 기독교대한감리회 쉴만한물가교회 담임으로 파송받았다.
북한선교실천연합 노희창회장과 함께 '북한과 선교'라는 북한선교지침서를 출간할데 대한 건의를 받고 주님의 명령으로 받아들이며 함께 교재로 출간하게 되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현재 한국기독교와 세계기독교연맹산하의 모든 기독교단위들에서 복음통일을 위시한 북한선교를 제시하면서도 형태만 있고 실체는 없는 실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 정통성에 벗어난 형이상학적 현상들을 조심스럽게 분석하면서 북한을 향한 복음통일은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서만 관철될 수 있다는 심오한 문제를 제시하였다. 하여 저자는 이 책에서 북한선교의 기본이 무엇이며 , 북한선교의 중심을 명백하게 설정하고 북한선교의 방향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명확히 밝혀 놓았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하여 한반도를 향한 복음통일의 시대적 사명과 순간에 대비하기 위해 기독교인들 스스로가 성경속 말씀의 진리를 제대로 이행해야 한다는것을 보다 심오하게 간절하게 강조하고 있다.
상세내역
목차
차례


들어가는 말(대표저자)/ 3, 나가는 글/ 238
감사의 글(김정원)/ 8, 저자소개/ 239


PART Ⅰ 북한선교의 기본

제1장 북한은 어떤 사회인가 19
1. 북한 사회의 일반적 이해 19
2. 북한의 사회적 변동 28
3. 김정은의 북한 36

제2장 북한 사람은 어떤 사람들인가 47
1. 북한 사람들은 도마와 같은 사람들 47
2. 북한 사람들은 훈령대로 사는 사람들 48
3. 북한 사람들은 애국으로 사는 사람들 50
4. 북한 사람들은 선행을 실천하는 사람들 50

제3장 김일성 종교와 목사들 52
1. 김일성 종교의 형성과정 52
2. 김일성은 누구인가? 김정일의 논리 56
3. 김일성의 목사들 61

제4장 종교의 완성국 북한 63
1. 훈령이 살아있는 북한 63
2. 북한의 종교현황 66
3. 북한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 78


PART Ⅱ 북한선교의 중심

제5장 북한의 지도사상에 대한 성서적 관찰과 분석 91
1. 북한의 지도사상 91
2. 북한의 조직체계 100
3. 십계명과 10대원칙 105

제6장 북한선교의 중심 109
1.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8:32) 109
2. 이 땅에 먼저 온 탈북민들 114
3. 북한선교는 민족선교 116

제7장 북한선교의 장벽 127
1. 제한된 정보접근 127
2. 사대주의와 교조주의 129
3. 북한 사람들의 투철한 혁명정신 133

제8장 북한선교의 빛과 소금 139
1. 통일독일의 주요사변 139
2. 복음통일은 실천 141
3. 북한선교는 마음의 통일 146


PART Ⅲ 북한선교의 방향

제9장 북한선교의 선구자 탈북민 155
1. 북한이탈주민 개요 155
2. 탈북민의 사명감과 정체성 회복 163
3. 북한선교 실천을 위한 사역자 양육확대 168

제10장 북한식 선교훈련 171
1. 세뇌된 주체사상을 하나님의 사상으로 171
2. 올바른 하나님의 일꾼 172
3. 북한 사람들에게 맞는 훈련방법 176

제11장 북한선교의 중심대상 179
1. 탈북민과 그 가족 및 친인척 179
2. 당 간부들 182
3. 북한 군인들 187

제12장 북한선교는 실천 193
1. 북한선교는 사명 193
2. 탈북민 교회는 북한선교 훈련장 199
3. 북한을 향한 선교 204

제13장 한반도의 기독교 역사 211
1. 최초 기독교 선교사 알렌 211
2. 교육의 공헌자 언더우드 선교사 213
3. 첫 교육시설 설립자 아펜젤러 선교사 215
4. 조선을 최초로 방문한 귀츨라프 217
5. 첫 순교자 토마스 선교사 219
6. 조선의 최초 기독교 선구자들 222

부록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