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만든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 대한민국 탄생과 발전에 관련된 중요한 사건들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도록 집필하였다. 학생들이 나열된 과거의 사건을 단순히 암기하는 데 그치지 않고 깊이 있게 생각하도록 구성하였다. 건국의 이승만 대통령과 부국의 박정희 대통령을 비롯한 역대 대통령들의 업적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이병철과 정주영을 비롯한 탁월한 기업가들의 업적도 폭넓게 담고 있다.
|
---|
목차 |
추천사 | 우리는 누구인가?
추천사 |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의 출간에 부쳐 추천사 | 젊은 세대에게 자부심과 희망을 심어줄 교육이 필요하다 Ⅰ. 들어가기 이 책을 펴내는 이유 Ⅱ. 개념 바로 세우기 1. 개인과 사회 (1) 자유로운 개인 (2) 슬기로운 사회생활 2. 경제 생활과 시장경제 (1) 경제 생활 (2) 시장경제 (3) 시장경제와 정부 3. 자유민주주의와 대한민국의 정치 (1)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 (2) 민주 정치의 실현 (3) 국제 사회의 탄생과 성립 (4) 국제 협력과 세계화 Ⅲ. 대한민국 이전의 사회 1. 구한말 사회 2. 일제 시대 사회 3. 해방 후 3년 동안의 사회 Ⅳ. 대한민국이 걸어온 길 1. 시련 속에 이루어진 건국 대업 (1) 건국 직후의 위기 (2) 6·25전쟁 (3) 민주주의 학습 (4) 잿더미에서 자립 경제로 2. 부국, 산업화와 근대화 혁명 (1) 4·19민주혁명과 민주당 정부의 좌절 (2) 5·16군사정변, 근대화로의 길 (3) 수출 주도형 개발 전략으로의 전환 (4) 중화학공업화와 국가 개발 3. 개인 자유의 신장(1980~1990년대) (1) 정치 권력 이동과 민주 시대 개막 (2) 수준 높은 시장경제로 가는 길목 (3) 시민 사회의 발전과 삶의 질 향상 4. 세계 속의 대한민국(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1) 평화로운 정권 교체와 양극화된 정치 (2) 원조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3) 새로운 시대로의 진입, 그리고 우리의 과제 Ⅴ.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길 1. 과학 기술과 사회 변화 (1) 과학적인 사회생활 (2) 과학 기술과 문명의 발달 (3) 과학 기술과 사회생활의 변화 (4) 더 나은 미래 사회를 위한 우리의 과제 2. 통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 (1) 통일이 필요한 이유 (2) 북한의 실태 456 (3) 다른 나라의 통일 사례가 주는 교훈 (4) 통일로 한 걸음 3. 국제 사회와 대한민국의 미래 (1) 미래 대한민국의 국제 정치 부록 1. 새 국가를 만년 반석 위에 세우자[초대 이승만 대통령의 건국 기념사(1948년 8월 15일)] 2. 대통령에 대한 이야기 3. 대한민국과 북한의 헌법 비교 - 주석 - 대한민국 사회교과서_참여 저자 및 주요 경력 - 참고 도서 및 자료 |
---|
다음글 | 영적 성장 시리즈 5 매서운 바람, 한국전쟁을 기억하며 |
---|---|
이전글 | 고대부터 남북한 교육과정까지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