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1950년대 북한의 소설은 6·25 전쟁으로 발생한 당대의 사회 역사적 조건을 바탕으로 형상화된다. 처절한 전쟁의 연대, ‘모든 것을 전쟁 승리를 위하여’라는 조선노동당의 호소하에 북한에서는 모든 것을 전시 체제로 개편하게 되는데, 문학도 ‘무기로서의 문학’의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문학 작품 주제는 전쟁에서 인민들을 격려하고, 그들의 투지를 자아내게 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인물 형상에서도 전방이나 후방에서 용감히 싸우는 영웅적 인민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휴전 이후 북한은 전후 복구 건설을 시작하면서 북한 인민의 열의를 고양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전쟁 시기 용감하게 싸웠던 사람들의 영웅 정신을 문학에서 재현해야 한다고 판단했고, 6·25 전쟁 시기 국가와 인민을 위해 헌신했던 본보기로 전쟁 영웅들을 재현한다. 1950년대 북한의 전쟁 제재 소설의 주제, 인물 형상화는 북한 인민이 분발하고 노력하도록 격려하는 정신적인 에너지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작가들은 전후 복구 건설에서 인민의 열의를 결집해야 한다는 당의 제시를 소설로 체현하였다. 1950년대 북한의 6·25 전쟁 소설에서 전방의 전사들을 자신보다 국가와 인민을 위해 죽음도 불사하는 인물로 형상화하고, 미군과 한국군이 점령한 곳에서 인민들이 두려워하지 않고 지하 투쟁을 전개하는 인물로 형상화한다. 긍정과 부정의 이분법으로 구분한 인물 형상화와 선과 악의 대립에서 북한 군인과 인민의 승리로 귀결되는 구도는 익숙한 서사이다. 긍정적 인물형인 영웅들의 고난과 희생, 극복하는 전쟁 서사를 통해 인민은 전쟁 영웅의 정신을 내면화한다. 전쟁이 끝나고 전쟁 시기를 돌아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면서 긍적적 인물을 내세웠던 ‘고상한 리얼리즘(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 방법도 변화한다. 게다가 소련에서 후르시초프가 주도한 수정주의로 현실성을 강조하는 문학이 대두되었는데 북한 문학에도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북한 문학에도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뿐 아니라 전쟁 당시 이중적 태도를 보여 준 사람들을 등장시켜 소설의 현실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 이런 변화가 등장인물의 성격이 조금 풍부하게 했을지 모르지만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벗어나지는 못한다. 저자가 분류한 특수한 인물들은 긍정적 인물인 영웅들을 따르는 보조적 인물이며, 카멜레온적 변신하는 인물들은 부정적 인물군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또한 고난 승리의 서사는 여전한 상황에서 조금 더 현실성을 갖춘 인물을 추가했다고 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 인물을 중요시하는 혁명적 낭만주의에 기반을 둔 ‘사회주의 리얼리즘(고상한 리얼리즘)’의 작은 변형에 불과하며, 이후 진행되는 ‘주체 문학’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 |
---|
목차 |
머리글 5
제1장 북한 문학의 특성 13 1. 1950년대 북한 사회와 문학 14 2. 북한 문학 연구의 흐름 19 3. 북한의 6·25전쟁 문학 이해 방법 32 제2장 북한의 6·25전쟁 인식 37 1. 6·25전쟁에 대한 다양한 명칭 38 2. 북한문학사의 6·25전쟁 인식 43 3. 1950년대 북한 사회와 문단 52 1) 북한의 전시 체제와 문단 52 2) 전후 북한 사회와 문단 57 제3장 1950년대 북한 문학의 주제 67 1. 대중 영웅의 애국심 찬양 70 2. 당의 영도와 정당함 입증 81 3. 전쟁의 참상과 반미 의식 고양 91 제4장 인물 유형 101 1. 긍정적 인물 유형 103 1) 영웅인 북한군인 104 2) 삶터를 수호하는 후방 인민 113 3) 전쟁 고난 속 강인한 여성들 123 2. 부정적 인물 유형 133 1) 침략자 미군 133 2) 전쟁터의 한국군 144 3) 미군 앞잡이 치안대와 경찰 150 3. 특수한 인물 유형 159 1) 낙후한 북한군인 160 2) 소극적인 후방 인민 166 3) 카멜레온적 변신을 하는 사람들 173 4. 인물 형상 부각의 특성과 원인 177 제5장 서사 특성과 서사 전략 187 1. 긍정적 인물 부각 서사 188 1) 긍정적 인물의 성장 모식 189 2) 비극을 배제한 영웅의 죽음 197 3) 혁명의 전통성에 대한 강조 208 2. 사랑이야기 서사 218 1) 혁명 우위 숭고한 사랑 218 2) 계급성을 반영한 사랑 221 3) 우수함을 돋보이게 하는 사랑 227 3. 인물 형상과 주제 돌출을 위한 서사 전략 230 1) 다양한 갈등 설정 230 2) 상황 교체 서술과 승리의 결말 236 3) 행복했던 시절 회고 241 제6장 결론 247 |
---|
다음글 | 공감을 넘어, 서로를 잇다 |
---|---|
이전글 | 북한의 사회문화, 일상 그리고 다가올 미래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