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북한에서 넘어온 사람들은 한국에서 어떤 형태로 공존할까. 이 공간 안에서 북한 사람들은 남한 사람들과 충돌하며 자신의 의미를 되묻는다. 북한이주민이라는 정치ㆍ사회적 위치가 그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를 이 책을 통해 탐색하고자 했다. 때로 그들은 자신과 유사한 사건을 접한 탈북 동료들을 통해 삶의 지혜를 찾고 자신이 어떻게 버텨왔는지에 대해 말했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북한이주민들이 한국 사회에 어떻게 적응해나가는지를 엮은 책이라기보다 그들이 지닌 고유한 자원과 강점을 엮은 것이라 보면 되겠다.
|
---|
목차 |
1. 나를 호출하는 시간 Time to call me 9
2. 초록빛의 ‘청춘’ Green Youth 41 3. 리더(leader)를 리드(lead)하기 Leading the Leader 69 4. 북한과 마주한 푸른 눈동자 Blue eyes facing North Korea 109 5. 내가 살던 북한은 North Korea where I lived 135 6. 선택할 수 있는 당신 You can choose 171 7. 남북한의 풍경 조각 Landscape sculptures of North and South Korea 213 독서세미나 기본자료 249 부록: 김지일 노트 250 |
---|
다음글 | 사라진 마법의 구슬 |
---|---|
이전글 | 북한 전쟁 문학 연구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