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너 어디 있느냐

상세내역
저자 문상붕 , 이정관 , 장진규 , 형은수
출판연도 2024년 08월 15일
출판사 파자마
쪽수 30
키워드 #카투사   #미국   #주한민군   #통일   #방북   #평화   #문상붕   #이정관   #장진규   #형은수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문상붕
전국국어교사모임 회원으로 30여 년간 함께 활동하면서 연구자료와 수업자료를 제작하며 호흡을 맞췄고, 글을 읽고 쓸 때 행복한 사람들이다. 대안교과서 《우리 말 우리 글》, 《교과서에 나오는 고전문학》, 《선생님과 함께 읽는 벙어리 삼룡이》, 《선생님과 함께 읽는 뫼비우스의 띠》, 《국어시간에 시읽기 2. 4》, 《백석을 읽다》, 《윤동주를 읽다》, 《이육사를 읽다》, 《시에서 삶을 읽다》, 《조지 오웰을 읽다》, 《어때요, 오늘 이 음악》, 《달챙이 장로 김호운》 등을 썼다.
요즘은 한국현대사를 관통하며 질곡의 삶을 살았던 위 세대를 복원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저자(글) 이정관
전주효문여자중학교 국어 교사. 첫 출근 전날 “아이들에게 죄짓지 않는 선생이 되어라.”라는 아버지의 말씀을 새기며, 제자들을 따뜻한 사람으로 키우기 위해 노력했다. 34년의 교직 생활 중 30번 담임을 맡았다. 가장 좋아하는 공간인 학교 도서관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며 책을 읽고 글을 썼다. 2021년을 마지막으로 교편을 내려놓으며, 은행나무가 잘 보이던 도서관 4층에서 그동안 품어온 시와 소설을 조심스럽게 꺼내 보인다. 30년 넘게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전국국어교사모임에서 활동했으며, 전북국어교사모임 회장직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국어시간에 시읽기 2》(공저), 《국어시간에 시읽기 4》(공저), 《(선생님과 함께 읽는) 벙어리 삼룡이》(공저), 《(선생님과 함께 읽는) 뫼비우스의 띠》(공저), 《백석을 읽다》(공저), 《윤동주를 읽다》(공저), 《한용운을 읽다》, 《이육사를 읽다》(공저), 《채만식을 읽다》 등이 있다.

-저자(글) 장진규
출간작으로 『너 어디 있느냐』 등이 있다.

-저자(글) 형은수
출간작으로 『너 어디 있느냐』 등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1989년 8·15일 군사분계선을 앞에 두고 임수경과 울먹이며 통일의 기도를 드렸던 신부.
2009년 용산 참사 비극에 유족의 슬픔과 함께하려 단식하다 죽음의 문턱까지 갔던 신부.
2003년 부안에서 광화문까지 이름도 없는 뭇 생명을 살리기 위해 65일간을 삼보일배로 기어서 갔던 신부. 지리산에서 임진각까지 인간의 탐욕에 대한 참회와 성찰을 요구하며 126일간 오체투지로 엎드려 기도했던 신부.
그는 항상 낮은 자리 소외된 자리에 함께 있었다. 언제나 그들과 함께하는 생명과 평화의 사제이기도 하지만 불의에는 깡패 신부이기도 했다. 자칭 ‘길바닥 신부’인 문규현 신부에 대해 객관적으로 담백하고 간결하게 쓰고자 했지만 어쩔 수 없이 그의 마음과 영성에 끌려 들어갔다.
이 책은 오늘의 고통을 은총으로 바꾸고 미래에 대한 걱정을 실천으로 바꾸는 한 사제의 뜨거운 신앙고백이다.
상세내역
목차
1장 사제가 되기까지
1) 부모님, 순교자의 믿음으로
2) 학창 시절
소신학교 시절 / 대신학교 시절 / 어쩔 수 없이 군대로
3) 카투사(KATUSA)에서 만난 미국
주한미군 / 군대생활
4) 이사 그리고 신학생
이사, 아버지의 뜻 / 신학생
5) 형님 문정현 신부

2장 사제 문규현
1) 사제 서품
2) 고산성당, 농촌 농민
신명 나는 고산성당 / 당당한 농민 되기 / 노풍 피해보상 운동 / 아버지
3) 천주교의 사회 참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으로 / 천주교 전주교구 / 5·18 광주
4) 군산 지역 민주화 운동의 거점, 팔마성당
본당 공동체의 활성화 / 오송회 사건
5) 교육국에서
6) 소몰이 투쟁

3장 휴전선을 넘어 통일의 길로
1) 미국 유학
아일랜드 연수 / 미국으로 떠나라 / 뜻하지 않은 미국 생활 /
2) 아, 조성만
3) 1차 방북
지금이 때다 / 길고 긴 여정 / 또 하나의 조국 / 장충성당 남북통일염원미사 / 합법적인 방북
4) 2차 방북
깨어진 형제의 약속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부름 / 함께 십자가를 지고자 / 길이 막혀 단식으로 / 통일의 꽃 임수경 / 분단의 벽을 넘다 / 누구를 위한 국가보안법인가
5) 투쟁의 길
법정 투쟁 / 역사의 심판, 하느님의 심판 / 항소이유서, 분단의 장벽을 넘어서 / 감옥살이 / 편지로 소통하다
6) 한국천주교회사
민족과 함께 쓰는 한국천주교회사 / 열린 교회 요촌성당
7) 3차 방북
청년들의 서학동성당 / 국민의 정부 출범 / 3차 방북 / 또다시 국가보안법

4장 생명과 평화
1) 삼보일배
새만금 개발의 민낯 / 새만금 개발 반대 운동에 뛰어들다 / 비폭력 시위 삼보일배 / 삼보일배의 시작 / 우리도 미물이다 / 4대 종단 화합으로 / 희망의 순례길 시속 1km / 생명 파괴의 땅 / 함께 한 사람들 / 수경이 쓰러졌다 / 큰 강을 이루어 서울로 / 죽으면 산다 / 새만금 투쟁은 아직도 진행형
2) 핵폐기장
부안 속의 부안성당 / 핵폐기장 반대 투쟁 / 생명과 평화를 이루는 힘 / 부안에서 배운 것
3) 오체투지
다시 나서는 생명 평화의 길 / 지리산에서 묘향산까지 / 온몸으로 / 길에서 배우다 / 계룡산에서 묘향산까지 / 길은 무엇인가 / 용산 참사 현장 / 생명의 근원으로
4) 다시 살리신 그 뜻은

5장 너 어디 있느냐
1) 평화동 신부
2) 그가 있는 곳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 평화와 통일을 이루는 사람들 / 생명평화마중물
3) 그래도 희망입니다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폐허에서 살아남기
이전글 사라진 마법의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