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북한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

상세내역
저자 강영아 , 김진숙 , 엄주현 , 유경숙 , 이재인 , 임성미 , 최성우 ,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출판연도 2025년 03월 25일
출판사 건강미디어협동조합
쪽수 296
키워드 #북한   #코로나   #팬데믹   #강영아   #김진숙   #엄주현   #유경숙   #이재인   #임성미   #최성우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강영아
예방의학 전문의. 국제보건, 건강 불평등 및 위기 의사 소통에 관심

-저자(글) 김진숙
질병관리청 근무. 약사이며 북한사회학 박사. 북한의 국제 보건협력, 북한 보건복지(여성, 장애인 등) 관련 법에 관심

-저자(글) 엄주현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근무. 북한학 박사. 북한 보건의료를 포함한 북한 사회 전반에 관심

-저자(글) 유경숙
약사. 의약품 접근권 보장, 북한 의약품 생산 및 사용에 관심

-저자(글) 이재인
서산의료원 응급의료센터 근무. 가정의학과 전문의.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회원. 공공의료에 관심

-저자(글) 임성미
일산백병원 근무. 응급의학과 전문의.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회원. 재난 의료, 국제 보건 및 북한 보건의료, 건강불평등에 관심

-저자(글)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건강 불평등, 국제보건, 이주민 건강 및 북한 보건의료에 관심

-기획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1997년 6월, ‘고난의 행군’ 당시 어려움을 겪는 북녘 어린이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보건의료인과 시민들이 함께 설립한 남북 교류협력 민간단체임. 90
여 차례에 걸쳐 160억여 원의 보건의료 관련 물자를 북송했고 2012년부터 「북한 보건의료 연차보고서」를 발간하면서 북한 보건의료 연구에도 집중함. 북한뿐 아니라 전 세계 어려운 어린이들 지원에도 관심이 커 이라크, 미얀마 난민촌, 아이티, 중국 조선족, 팔레스타인 등의 어린이들을 지원함. 차별 않는 건강권 확대에 기여하고자 애씀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은 코로나 유행 시기 북한 대응 양상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그 대응 너머로 펼쳐진 북한 정부의 작동 방식, 북한 주민의 삶의 현실도 볼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북한의 감염 대응 방식과 그 결과는 보건의료, 사회 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국가가 감염병 대유행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유가 어떠하든, 북한은 유행 초기 상당 기간 진단 키트나 장비 부재 상태로, ‘공식적으로’ 집단 예방접종 못한 채 감염병 유행과 싸워야 했다. 일차적으로 북한 당국이 책임져야 할 부분을 갖는다 하더라도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 한국, 일본 등 주변국들과 특히 국제사회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반성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엄청난 인류 재난 앞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국제적 규범, 국가 간 약속, 특히 인도주의적 국제 협력 체계를 다시 설계할 필요성을 보여 준다.
_ 신영전(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추천사 중에서
상세내역
목차
추천사 평화와 건강을 꿈꾸는 이들의 보고서 _신영전 8
들어가며 14

1장 코로나19 발생 현황 _ 유경숙 16
1. 북한 발생 현황 19
2. 남한 발생 현황 25
3. 소결 27

2장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조직과 법 및 제도 _ 엄주현 30
1. 북한 상황 31
2. 남한 상황 43
3. 소결 46

3장 코로나19 방역 _ 최성우 50
1. 소독 52
2. 위생선전 60
3. 검병 검진 67
4. 격리 72
5. 검사 78
6. 소결 82

4장 방역물자 연구 및 확보 _ 임성미 50
1. 북한 상황 87
2. 남한 상황 97
3. 소결 98

5장 해외 유입 물자와 사람에 대한 검역 및 봉쇄 _ 강영아 100
1. 북한 상황 101
2. 남한 상황 110
3. 소결 111

6장 취약 집단 및 시설 관리 _ 이재인 114
1. 북한 상황 115
2. 남한 상황 126
3. 소결 128

7장 진단과 치료 _ 이재인 130
1. 진단 134
2. 치료 142
3. 소결 158

8장 발생 집단 격리 및 재택 치료 _ 이재인 162
1. 북한 상황 163
2. 남한 상황 169
3. 소결 172

9장 예방 접종 _ 엄주현 174
1. 북한 상황 176
2. 남한의 백신 접종 현황 182
3. 소결 184

10장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교육 현황 _ 임성미 186
1. 북한 상황 187
2. 남한 상황 192
3. 소결 193

11장 민생 지원 현황 _ 엄주현 194
1. 북한 상황 197
2. 남한 상황 213
3. 소결 214

12장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현황 _ 김진숙 218

13장 결론 224

부록 233
1. 북한 보도 기준 코로나 발생 현황 23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비상방역법 237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염병예방법 258
4. 신형코로나비루스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어른용 272
5. 신형코로나비루스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어린이용 278
6. 신형코로나비루스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임산모용 284
7. 돌림감기와 신형코로나비루스혼합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 (어른용, 어린이 용, 임산모용) 291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북한 연출가들의 연극 제작법
이전글 국어 어문 문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