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한국 사회와 한국교회는 풍요로우나 빈부격차가 크지 않고 자유롭되 소통이 잘 되고 건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매력 있는 사회로 만들어서 철이 자석에 이끌리듯 한인 디아스포라라 할 수 있는 북한이 저절로 우리 사회와 하나 되기를 원하는 민주적이고 보다 좋은 사회로 만드는 것이다.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평화통일 준비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여기에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같은 한인 디아스포라인 남북 평화통합 동반자 목회를 위해 지도자들을 양성해야 한다.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교수였던 헨리 나우웬(Henri J. M. Nouwen, 1932~1996)은 평화의 정신을, “기독교인의 온전한 소명(a full-time vocation)이다”라고 말했다. 더욱이 한인 디아스포라와 통일문제에 있어서 만큼은 기독교 사랑의 정신을 바탕에 투고 남남 간, 그리고 남북 간 합의를 이루는 데 힘을 보태야 한다. 이에 대하여 인류뿐만 아니라 한반도는 분열과 갈등을 넘어 조화로운 공동체 가치를 구체화 시키는데 한반도 평화와 통일 및 미래의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를 준비하며 다양한 평화와 통일을 위한 방안들과 선교전략을 토의해야 할 것이다. |
---|
목차 |
추천의 글
서문 01 _ 평화의 책, 성경 02 _ 평화의 역사적 인식 03 _ 지속가능한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04 _ 본회퍼 하면 평화다 05 _ 문화인류학적 관점의 평화 06 _ 종교 현상학적 관점의 평화 07 _ 한인 디아스포라와 함께하는 평화 08 _ 평화가 있는 교육 09 _ 평화로 가는 선교 10 _ 평화선교를 위한 이론과 그 실행 참고문헌 |
---|
다음글 | 북한 선교 어떻게 할 것인가? |
---|---|
이전글 | 외국 유학생이 본 평양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