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저자의 2014년 미국 싸우스웨스턴침례신학교 전도학 박사학위 논문을 번역한 것으로 만약 북한에 남한교회가 들어갈 수 있는 문이 당장 열린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답하며 그때를 위한 준비된 전략이 있다면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북한의 문을 열어 주실 것이라는 믿음으로 허물어진 북한 교회 재건과 남북의 복음 통일에 이바지하고 다시 오실 주님의 길을 예비한다.
|
---|
목차 |
추천사 이상규 박사︱전 고신대학교 교수, 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1
도표와 그림 목록 8 약어표 9 머리말 10 이 책에 관한 간략한 안내 12 제1장 서론 14 1. 예양협정(禮讓協定: Missionary Comity)이란? 16 2. 주제에 대한 안내 17 3. 부제목과 분석적 방법론에 대한 설명 17 제2장 예양협정에 대한 고찰 24 1. 예양협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24 2. 한국에서의 예양협정 41 3. 예양협정의 국제적 동향 63 4. 요약 105 제3장 두 패러다임의 충돌: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즘 107 1. 예양협정 논의에 나타난 두 패러다임 108 2. 두 패러다임의 발전 120 3. 요약 169 제4장 예양협정에 나타난 패러다임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평가 171 1. 성경 용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 172 2. 지상 교회에 대한 이해 175 3. 교회 일치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 195 4. 교회 일치 개념에 따른 두 패러다임에 대한 평가 204 5. 요약 212 제5장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예양협정 215 1. 북한 복음화를 위한 한국 교회의 선교 방식 215 2. 현재의 선교 방식 216 3. 한국 교회의 북한 선교 방식에 대한 탈북민의 평가 216 4. 첫 번째와 세 번째 전략에 대한 탈북민의 평가 217 5. 두 번째 유형의 전략에 대한 탈북민의 평가 221 6. 정치적 개방을 염두에 둔 북한 복음화 전략: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계획 수립 221 7.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탈북민의 전략 229 8. 한국 교회 상황에서 본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즘 233 9. 성경적 예양협정을 위한 외국 학자들의 제안 238 10. 요약 244 제6장 결론 245 1. 예양협정에 대한 역사적 평가 245 2. 예양협정에 대한 성경적 평가 247 3. 역사적/성경적 교훈을 통해 수립할 수 있는 전략: 제한된 예양협정 249 4.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250 에필로그 251 참고 문헌 253 |
---|
다음글 | 통일이념으로 개천절 때 단군릉에서 남북, 해외가 공동선언 한 단군주의 |
---|---|
이전글 | 탈기독교시대 평화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