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풀어쓴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사회 실태

상세내역
저자 나용우 , 장철운 , 황수환
출판연도 2025년 04월 08일
출판사 통일연구원
쪽수 110
키워드 #김정은   #북한   #경제   #사회   #실태   #나용우   #장철운   #황수환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통일연구원은 1980년대 이후 구소련의 해체와 동구권의 붕괴등 국제정세의 급변에 따라 우리의 통일환경도 변화 하여, 정부는 사회주의권과의 교류확대와 남북한 통일외교를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 또한 국민들의 바람직한 민족통일관 정착을 위한 프로그램마련의 필요성이 증대되었으며, 통일논의의 확산과 체계적, 전문적 종합연구기관의 필요성이 증대하였다. 이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여 민족통일연구원법(법률제 4241호)에 의거 1991년 4월 9일 민족통일연구원이 개원하였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2025년 4월 통일연구원에서 발간한 기타연구보고서 '풀어쓴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사회 실태'

도서 PDF 받기:_풀어쓴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사회 실태
상세내역
목차
Ⅰ. 서론 9

Ⅱ. 북한 주민의식 변화 15
1. 들어가며 17
2. 기대할 것 없는 당국 대신 시장으로: 경제의식 변화 18
3. 집단보다 개인 우선: 사회의식 변화 23
4. 김정은에 대한 무원(無願): 정치의식 변화 27
5. 향후 전망 30

Ⅲ. 북한 장마당 세대의 등장 33
1. 들어가며 35
2. 청년세대는 트렌드에 민감해 36
3. 청년세대는 외부정보에 민감해 43
4. 청년세대는 변화와 자유를 좋아해 46
5. 향후 전망 49

Ⅳ. 북한 내 외부정보 유입 및 사회 통제 51
1. 들어가며 53
2. 북한에서 외부정보는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가? 54
3. 외부정보는 은밀하게 들어와야 57
4. 외부정보는 철저하게 통제해야 62
5. 향후 전망 65

Ⅴ. 북한 사회격차 확대 및 불평등 심화 67
1. 들어가며 69
2. 부익부 빈익빈의 심화: 빈부 격차 및 불평등 70
3. 꼰대와 MZ: 세대 차이 77
4. 평양은 별천지: 지역 격차 81
5. 향후 전망 87

Ⅵ. 북한 법의 사회적 위상 변화 및 규율 통치 89
1. 들어가며 91
2. 법치주의가 사라진 사회 92
3. 부정부패가 만연한 사회 95
4. 향후 전망 101

Ⅶ. 결론 103
참고문헌 109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북한에도 성소수자가 있을까?
이전글 엄마의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