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통일교육의 이해

상세내역
저자 이미혜 , 정일영 , 정대진
출판연도 2024년 03월 01일
출판사 한반도데스크
쪽수 284
키워드 #남북   #통일   #교육   #한반도   #이미혜   #정일영   #정대진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이미혜
李美慧, LEE MI-HYE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인제대학교 통일학 박사
논저 “A Study of North Korea’s Policy Change Through Big Data Analysis”(2023) “Analysis of Unstructured Data in Unification Education Policy”(2022)

-저자(글) 정일영
丁一榮, JEONG IL YOUNG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Korean Drama: A Korean Perspective on Nuclear Weapons, Negotiation, and Unification (2024), 『북한 자료로 본 평양학개론』 (2023), 『한반도 스케치北』 (2021) 등

-저자(글) 정대진
鄭大珍, JUNG DAE-JIN
원주 한라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통일학 박사
논저 『국제질서 대전환과 남북관계』(2022), 『한반도 스케치北』(2021), “북한의 외국인투자법제와 행정소송 도입”(2020) 등
상세내역
주요내용
“남북통일은 갈라진 민족을 다시 온전한 하나의 민족으로 되돌리는 일이며 한반도의 불안정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일무이(唯一無二)한 방법으로 당연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남북통일은 당연하거나 무조건적이지 않다. 동북아에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북한의 핵무장은 한반도의 안보를 불안하게 만들고 남북의 갈등을 고착화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여전히 통일은 우리 헌법과 법률, 그리고 수많은 교과서와 책자 속에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우리 국민의 통일에 대한 인식은 점차 악화되고 있으며 통일이 정말 필요한가에 대한 회의감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과연 우리는 통일환경과 우리 내부의 인식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가?
이 책은 점차 당연하지 않은 소원, 목표가 되어가고 있는 통일을 우리의 통일교육을 중심으로 되돌아보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한다. 우리의 통일교육은 단순히 남북의 통일이 가져올 장밋빛 미래를 보여주는 것 이상의 구체적인 이유와 필요, 그리고 방안을 설명해야 한다.”
(책 가운데)
상세내역
목차
I. 통일교육의 길라잡이

II. 통일교육의 지속과 굴절
1. 통일교육의 1차 변동: 통일·안보 지향 통일교육으로
2. 통일교육의 2차 변동: 통일·평화 지향 통일교육으로
3. 통일교육의 3차 변동: 신안보 지향 통일교육으로

III. 남북 통일교육의 현재
1. 교과서를 통해 본 북한의 통일교육
2. 교과서를 통해 본 한국의 통일교육

IV. 통일교육의 새로운 대안
1. 통일교육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대안 모색
2. 지역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