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북한 간행물의 편집디자인과
출판·인쇄·정보통신의 역사적 변천사 초기 한글 교육 정책부터 교과서ㆍ신문ㆍ잡지의 타이포그래피 변화, 출판사와 인쇄소의 설립ㆍ발달, 그리고 인터넷과 이동통신 사용 현황까지 1945년부터 2023년까지 북한의 활자 문화 78년 변천사를 탐구한 연구서로, 사상적 편견을 철저히 배제하고, 각 시대별 언어, 서체, 디자인, 출판, 인쇄, 정보통신의 변화를 통해 북한의 활자 문화사를 체계적으로 구성했다. 김일성 주석, 김정일 총서기, 김정은 위원장 시대를 모두 아우르면서 각 시대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는데, 저자가 지난 8년 동안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러시아, 체코, 오스트리아 등에서 북한 문헌자료를 수집, 연구하여 발표한 논문들이 이 책의 토대가 되었다. 이 책은 북한의 활자 생활문화사를 종합적으로 정립한 디자인 인문학 교양서이자, 북한 간행물의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변화를 분석한 현대 북한 서체사(書體史)라는 점에 출간의 의의가 있다. 제1장에서는 북한의 초기 언어학과 주체적 언어생활의 변화를 다루고, 제2장에서는 소련 점령기 동안의 한글 교육 정책과 타이포그래피의 변화를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북한 인민학교의 《국어》 교과서와 그 타이포그래피를 분석하며, 제4장에서는 북한 조선어 사전의 역사적 편찬 과정과 타이포그래피를 논의한다. 제5장과 제6장에서는 각각 신문과 잡지 편찬의 역사적 흐름과 타이포그래피의 변화를 다룬다. 제7장에서는 출판기관과 인쇄공장 설립과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제8장은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종합 장으로서, 조선어 서체의 기원과 디지털 전자 서체로의 형성 과정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제9장에서는 최근 북한의 IT 동향과 그 현황을 정리했다. |
---|
목차 |
프롤로그
제1장 초기 언어학과 언어생활의 주체성 1. 초기 언어학 2. 언어생활의 주체성 3. 맺으며 제2장 소련 군정기 한글 교육 시책과 타이포그래피의 변화 1. 들어가며 2. 소련 군정기의 교육 체재 및 문맹퇴치운동 3. 한글학교 운영, 한자 폐지, 가로쓰기 이행 4. 대표 잡지의 타이포그래피 변화 5. 맺으며 제3장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의 타이포그래피 변화 1. 들어가며 2. 국어 교육의 목표 및 역사적 변천 3. 《국어》 교과서의 내용과 학습 요소, 문자 지도 및 그 특성 4. 유치원용 《우리말》 교과서와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의 타이포그래피 분석 5. 맺으며 제4장 국어사전의 역사적 변천과 타이포그래피의 변화 1. 들어가며 2. 역대 국어사전의 분류와 간행의 개괄 3. 시대구분에 따른 국어사전의 편찬과 그 특징 4. 대표 국어사전의 타이포그래피 특징 5. 맺으며 제5장 신문 발행의 역사적 변천과 타이포그래피의 변화 1. 들어가며 2. 신문 언론관의 원류 및 성격, 기능, 원칙 3. 시대구분에 의한 신문의 역사적 변천 4. 대표 신문의 타이포그래피 특징 5. 맺으며 제6장 문예잡지 간행과 타이포그래피의 변화 1. 들어가며 2. 문화예술정책의 시기 구분 3. 북한 잡지의 원칙 4. 대표 문예잡지의 타이포그래피 변화 5. 맺으며 제7장 출판기관과 인쇄공장의 역사적 변천 1. 들어가며 2. 출판기관의 역사적 변천 3. 대표 인쇄소의 역사적 변천과 그 동향 제8장 조선어 서체의 원형과 원류 1. 들어가며 2. 조선어 서체 서법의 정립과 원칙, 그리고 숙련 3. 제3, 4차 인쇄 서체의 분류와 서체의 개명 및 포인트 체계 변화 4. 조선어 전자 서체 개발과 ‘붉은별’ OS 개발의 동향 5. 대표 디지털 전자 서체와 그 특징 6. 근대 연활자체와 현대 전자 서체 자양(字樣)의 원류와 원형 7. 맺으며 제9장 IT 동향과 그 실상 1. 들어가며 2. 통신·인터넷 부문 현황 3. 이동통신망 사업자 4.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현황 5. 인트라넷 ‘광명 네트워크’의 온라인 사이트 6. 다양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의 출현 7. 맺으며 에필로그 참고 문헌 |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