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한국여성 평화운동사

상세내역
저자 심영희 , 김엘리
출판연도 2005년 12월 31일
출판사 한울아카데미
쪽수 402쪽
키워드 #여성   # 젠더   # 여성학   # 여성평화운동   # 심영희   # 김엘리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기획 : 평화를만드는여성회 병설 한국여성평화연구원

필자 소개(가나다순)

고유경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사무국장, SAFE 코디네이터
김숙임 평화를만드는여성회 공동대표, 민화협 여성위원장
김엘리 성균관대 여성학 강사, 평화를만드는여성회 정책위원
김정수 평화여성회 일상평화센터 소장, 한국여성단체연합 평통위원장
심영희 한양대 사회학과 교수, 평화를만드는여성회 공동대표
안정애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강사,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연구위원
정경란 평화여성회 한반도평화센터 소장, 전 GPPAC동북아네트워크 운영위원
정현백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조영주 한국여성연구소 연구원
최윤정 또하나의문화 사무국장, 여성주의저널 일다 기자
상세내역
주요내용
››› 기획 의도
이 책은 한국여성평화운동사에 관한 최초의 책으로서 여성의 경험을 역사화하고 여성평화운동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여성평화운동의 연구와 교육,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자들이나 활동가들에게 연구자료나 교육자료 등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평화운동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활동가들에게도 앞으로의 방향과 비전에 대해 무엇인가 제시해 줄 수 있으면 좋겠다. 그리고 정책입안자들에게도 평화통일에의 여성참여 확대와 여성주의적 관점의 확산을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이 책을 기획하게 된 의도이다.

››› 출간 의의
이 책의 목적은 첫째, 단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여성평화운동의 기록들을 모아 정리하고, 둘째, 이러한 과거의 기록을 되돌아봄으로써 현재의 여성평화운동의 위치를 확인하고, 셋째, 앞으로의 여성평화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찾아보는 것이다.
주요 영역과 이슈를 정하는 데 있어서 많은 토론을 통해 여성들이 해왔던 평화운동을 중심으로 총론, 통일, 남북여성교류, 반전·군축, 국제연대, 여성인권, 법·정책개선, 평화교육·평화문화 등 8개 주제로 정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필진을 선정하고 섭외하였다. 필진은 가급적 현장에서 활동하면서 연구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즉, 현장에서 뛴 사람들의 경험을 고스란히 담아내고자 했다. 이렇게 구성된 이 책은 사실의 발견과 기록에 충실한 이 분야의 최초의 책이라는 점에 출간의의가 있다.
상세내역
목차
제1장 - 한국여성평화운동의 흐름과 과제
1. 서론
2. 여성평화운동이란 무엇인가?
3. 여성평화운동의 발생 맥락
4. 여성평화운동의 시기별 영역별 전개
5. 여성평화운동의 쟁점과 과제
6. 한국여성평화운동의 비전과 전략

제2장 - 여성통일운동의 역사
1. 머리말
2. 여성통일운동의 형성과 발전
3. 통일운동과 통일정책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4. 활동
5. 여성통일운동의 과제와 전망
6. 맺음말

제3장 - 남북여성교류
1. 들어가는 말
2. 남북여성교류의 흐름
3. 남북여성교류의 새로운 전환을 위하여
4. 나가는 말

제4장 - 여성들이 하는 군축?반전운동
1. 시작하면서
2. 군축운동
3. 반전운동
4. 맺으면서

제5장 - 한국여성평화운동과 국제연대
1. 서론
2. 원폭피해자 지원 국제연대
3. 국제회의를 통한 연대
4.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국제활동
5. 전쟁반대 국제연대
6. 갈등해결 및 갈등예방
7. 군사주의와 여성인권
8. 결론

제6장 - 여성인권과 평화운동
1. 시작하며
2.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
3. 기지촌 여성운동
4. 군가산점제 폐지운동
5. 마치며

제7장 - 법·제도 정책을 위한 여성평화운동
1. 들어가는 말
2. 소파(SOFA)개정운동
3. 국가보안법 폐지운동
4. 양심적 병역거부 운동
5. 통일/국방/외교정책 제시
6. 맺음말

제8장 - 여성평화교육과 평화문화운동
1. 들어가는 말
2. 평화교육의 개념, 성격, 범주에 관하여
3. 한국여성평화교육의 전개: 운동과 교육
4. 여성평화교육의 성과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북한음악과 주체철학
이전글 통제하의 북한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