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북한미술의 역사와 전통

상세내역
저자 박계리
출판연도 2023년 12월 12일
출판사 솔과학
쪽수 290쪽
키워드 #민족공동체   # 에곤   # 세잔   # 창작방법   # 정치사회   # 백두   # 박계리
상세내역
저자 소개
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에서 Post. Doc, 한국전통문화대학교와 베를린 자유대학교 초빙교수, 홍익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는 국립통일교육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후 미술평론가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큐레이터로 재직한 후에는 전시 기획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모더니티와 전통론』(2014), 『북한미술과 분단미술』(2019)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한 바 있으며(2016), ‘2024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운영자문위원, 한국미술이론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피해가고자 하지만 피할 수 없는 우리의 멍에와 화두!
평화는 어떻게 가능할까?
저자는 이 책에, ‘통일’과 ‘경계’, ‘통합’과 ‘개인’에 대한 고뇌와 철학을 오롯이 담았다!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더 큰 블럭으로의 통합이라는 미래를 선택했다!
그리고 여전히 거창한 담론보다 마음의 울림을 담아내려 노력했다!
소통 부재의 사회에 눈뜨면서 시각언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아름답게 살고자 하는 모든 인간의 욕망과 예술을 통한 소통의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미술사’ 공부를 시작했다. 자신의 정체성과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분단 트라우마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고, 자연스럽게 북한의 문화예술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었다!

미술사학이라는 학문을 배워나가는 과정은, 감정과 이성의 공존을 익히는 엄격한 학습 과정이었다. 그 배움의 과정에서 에곤 쉴레를 만났고 피카소, 세잔, 타틀린를 만나서 그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의 시대를 읽어내는 작업은 익숙한 일이 되어 갔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북한 미술을 연구하자, 많은 이들이 묻기 시작했다.

북한미술을 왜 연구하나요?
“실은, 그 질문이 내겐 낯설었다. 그리곤 그러한 지점에 내가 서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그 과정에서 쓰여진 것들이다.”

“북한에서 문화예술작품들은 북한 정책을 주민들에게 교양시키는 핵심 수단이다. 따라서 북한미술작품을 통해 북한의 정치 사회의 움직임을 분석해낼 수 있다. 동시에 민족공동체라고 우리가 말은 하고 있지만, 너무나 달라 보이는 한국과 북한 사람들이 여전히 민족공동체라고 말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도 북한미술작품은 대답을 해주곤 했다. 여전히 우리에게 같은 지점은 무엇이고, 그 사이 도저히 같아질 수 없어진 부분은 무엇인지 묻게 해준다. 그 질문들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이 책 안에 들어있다.”
상세내역
목차
서문 ㆍ4

1. 북한적인 회화란 무엇인가? ㆍ15
Ⅰ 조선화의 성립과 변화 ㆍ19
1. 김일성주의미술론 - 조선화의 성립 ㆍ19
2. 김정일주의미술론 - 조선화의 변화 ㆍ38

Ⅱ 우리식 유화 ㆍ53
1. 조선화를 토대로 한 ‘우리식 유화’ ㆍ57
2. 단붓질법과 ‘우리식 유화’ ㆍ69
3. 유화를 유화의 특성에 맞게 발전시킬 것에 대하여 ㆍ73

2. 변월룡과 1950년 전후의 북한 미술계 ㆍ79
Ⅰ 1950년 전후의 북한 미술계와 소련 ㆍ83

Ⅱ 변월룡의 등장과 북한미술계의 변화 ㆍ88
1. 사회주의리얼리즘미술론을 표현형식으로 가르치다 ㆍ88
2. 작품을 통해 본 변월룡 ㆍ96

3 정치권력 이동에 따른 김정숙 이미지의 탄생과 변화 ㆍ111
Ⅰ 김정숙 이미지의 대두와 전개 ㆍ115

Ⅱ 김일성 시대 김정숙 이미지 ㆍ119
1. 항일 영웅 ㆍ119
2. 김일성의 친위전사 ㆍ122
3. 여성해방운동의 지도자 ㆍ125

Ⅲ 김정일 시대 김정숙 이미지 ㆍ129
1. 김정일의 어머니 ㆍ129
2. 군대의 어머니 ㆍ131

4 백두산 ㆍ143
Ⅰ 풍경화 장르의 재인식 : “사람을 등장시키지 않고도 정치성을 표현해낼 수 있다.” ㆍ147
Ⅱ 사의(寫意)적 풍경화 : “자연은 어느 것이나 뜻이 깊게 그려야 한다.” ㆍ154
Ⅲ 풍경화와 서정성 : “자연은 어느 것이나 정서가 차 넘치게 그려야 한다.” ㆍ160
Ⅳ 백두산 표상의 변화 ㆍ165
1. 조종의 산ㆍ민족의 상징에서 김일성 혁명전통의 상징으로 ㆍ165
2. 통일 ㆍ168
3. 백두산 3대 장군과 백두 혈통 ㆍ173

5. 북한의 조선시대회화사 연구를 통해본 전통 인식의 변화 ㆍ181
Ⅰ 전통개조론과 전통계승론 ㆍ185
1. 전통개조론 ㆍ186
2. 전통계승론 ㆍ192

Ⅱ 회화사에 대한 계급적 인식 ㆍ201
1. 김일성의 3ㆍ11교시와 반복고주의 투쟁의 촉발 ㆍ202
2. 조선화분과 연구토론회와 한상진ㆍ조준오의 리능종ㆍ김무삼 비판 ㆍ207
3. 김일성주의 미술사관의 확립 ㆍ212

Ⅲ 문인화 전통의 회생과 활용 ㆍ216
1. 문인화 복권 ㆍ21

6 북한의 기념비조각 ㆍ229
Ⅰ 기념비조각의 특징 ㆍ233
1. 형상의 함축성과 내용의 포괄성 ㆍ235
2. 조형적 형식의 웅장성과 선명성 ㆍ238
3. 위치 선정, 주변 환경과의 조화 ㆍ240

Ⅱ 선군시대의 상징 무산지구전투승리기념탑 ㆍ243

7 보석화 ㆍ249

8. 북한 미술에서 리얼리즘 개념의 변화와 ‘전형론’ ㆍ257
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ㆍ262

Ⅱ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ㆍ268
1. 전형적 인간과 인간의 자주성 ㆍ268

Ⅲ 주체사실주의, 주체미술 ㆍ276
1. 전형적인간과수령에대한충실성 ㆍ276
2. 수령의 영생불멸성 ㆍ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