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북한의 민속 3

상세내역
저자 강정원 , 김종군 , 정향진 , 엄현숙 , 안주영 , 권혁희 , 강주원 , 차은정
출판연도 2023년 11월 15일
출판사 민속원
쪽수 264쪽
키워드 #조선   # 인천   # 라캉   # 제례   # 미신   # 북조선   # 강정원   # 김종군   # 정향진   # 엄현숙   # 안주영   # 권혁희   # 강주원   # 차은정
상세내역
저자 소개
이미지 강정원 (등저)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이다. 러시아 시베리아 야쿠트 샤머니즘에 관한 연구로 독일 뮌헨대학교 문화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민속학 일반과 종교인류학 등을 담당하고 있다. 샤머니즘을 포함한 종교민속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책을 발표하였고, 공동체 민속문화와 문화정책, 박물관 등과 연관된 여러 업적을 가지고 있다. 한국민속학회장과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 러시아, 중앙아시아, 미국 등지에서 현장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김종군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이다.

정향진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이다.

엄현숙
북한학 박사(북한대학원대학교) / 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연구원이다.

안주영
서울대학교 소속이다.

권혁희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조교수이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와 서울대학교 인류학 석사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밤섬마을의 역사적 민족지와 주민집단의 문화적 실천”으로 인류학 박사학위(2012)를 받았다. 근대화와 문화변동, 한국문화의 전통과 현대적 창출 등에 대해 연구해왔다. 현재 북한의 시각예술과 주민의 생활문화 그리고 문화유산정책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강주원
서울대 인류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2012)를 받았다. 2000년 여름부터 한반도 밖이자 국경 지역인 중국 단둥을 포함해서 두만강과 압록강을 다니고 있다. 2020년 봄부터는 한반도 안인 임진강과 한강 그리고 DMZ의 안과 밖도 넘나들고 있다. 북한사람·북한화교·조선족·한국사람의 관계맺음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 남북 교류와 만남, 분단의 풍경과 삶을 배우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북한과 한국 사회를 낯설게 보고 만나고자 노력한다. 한반도 평화와 공존에 대한 고민을 업으로 삼는 인류학자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차은정
서울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규슈 대학 한국연구센터 방문연구원과 히토쓰바시 대학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은 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함께 한 여러 연구원들의 고뇌의 결과물이다.
본 책은 20세기의 북한보다는 고난의 행군 이후에 새롭게 전개된 21세기 북한의 현재에 초점을 두고 있다. 20세기 후반 북한 사회를 뒤흔든 고난의 행군과 그 이후에 등장한 장마당이 민속문화와 연결되는 방식 혹은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두고 북한의 생활문화 중 종교나 놀이, 의례 등의 변화를 논하고 있다. 한편으로 이 책은 2024년부터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될 북한 생활역사문화 DB를 이해하는 것을 돕는 차원에서 만들어지기도 했다. 본 책을 관철하는 논지처럼 북한에도 민속 생활문화가 존재하며, 사람들도 아울러 살고 있다. 이 평범한 진리를 밝힌 이 책이 향후 북한에 대한 이해와 남북 교류 증진 및 평화 통일에 작은 기여라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상세내역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북한의 미신과 조상숭배, 점사

북한의 조상과 점사 종교|강정원
1. 북한 종교의 실재와 생활 세계
2. 북한 민속 세계와 점복, 조상 종교, 그리고 미신
3. 초월 세계와 생활 세계의 존재론적 관계-조상 숭배
4. 우연의 필연화-점사의 미신 종교
5. 북한 사회의 지속과 민속 종교

북한 제례 문화의 현재 양상과 변화의 의미|김종군
1. 머리말: 분단 이후 북한 제례 문화의 위상
2. 전통적 제례 문화의 역사와 의미
3. 북한 제례 문화의 현재 양상
4. 북한 제례 문화의 변화 과정과 의미
5. 맺음말

북한 조직생활 의례와 사회적 장의 정치화|정향진
1. 들어가며
2. 조직생활 선행연구
3. 생활총화의 의사소통 규범
4. 공동체 모델과 생활총화의 사회적 장
5. 사회적 장의 정치화와 그 긴장: 마음, 친숙, 친밀
6. 결론

북한 사회 미신행위 특성|엄현숙
1. 들어가며
2. 라캉의 세 개념(상상계, 상징계, 실재계)과 분석틀
3. 미신에 대한 북한 사회의 지배적 담론
4. 북한 사회의 미신행위 상징성과 기대심리
5. 북한 사회의 미신행위와 사회정치적 의미
6. 나오며

북한의 양력설과 음력설|안주영
1. 서론
2. 양력설에 부여된 이중적 정체성
3. ‘전통 민속명절’로 재창조된 음력설과 정월대보름
4. 결론

2부 남북한 교류의 새로운 가능성

북한 문화유산 정책의 변화와 접경지역의 교류 방안|권혁희
1. 김정은 정권 이후 문화유산 정책의 변화
2. 인천과 황해도 지역 문화유산의 비교
3. 인천과 황해도 지역 무형문화유산(비물질문화유산)의 비교
4. 인천과 황해도 지역 간의 문화유산 교류와 협력을 위한 제안

코로나19 이후, 북한 민속문화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이해의 단초|강주원
1. 들어가면서
2. 코로나19 이후, 북한을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선입견 혹은 편견
3. 나가면서

일본 조선대학교의 역할과 전망|차은정
1. 일본에 있는 또 하나의 ‘북조선’
2. 재일조선인이라는 담론
3. 재일조선인을 둘러싼 역사의 구축
4. 재일조선인을 보는 또 하나의 관점으로서 ‘에스닉’
5. ‘한민족’의 문화를 생성하고 전수하는 조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