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

상세내역
저자 이순형 , 김창대 , 진미정
출판연도 2011년 12월 30일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쪽수 200쪽
키워드 #심리   # 행위   # 특성   # 소년   # 상호작용   # 이순형   # 김창대   # 진미정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이순형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교수

김창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교육상담)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석사, 박사(교육상담)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진미정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소비자아동학)
미국 시카고 대학교 석사(아동가족정책)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박사(가족학/인구학)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교수
상세내역
주요내용
남ㆍ북한의 주민들 간의 사회통합을 위한
탈북인들의 공ㆍ사적 관계 이해

이 책은 저자들이 수년 동안 연구해왔던 탈북민의 심리ㆍ사회적 통합이라는 주제의 맥을 잇는 또 하나의 결과물이다. 저자들은 남한주민들과 탈북주민들이 만나 상호작용하면서 무엇인가 이중적이라고 느끼는 것은 공ㆍ사적 관계의 범위와 각 관계에서의 행위코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경험적 자료 분석을 통해서 이 책은 북한주민들의 공ㆍ사적 관계망의 크기와 범위, 공ㆍ사적 관계에서의 의사소통과 감정표현, 공적맥락에서의 의사소통 방식 등을 탐색함으로써 북한주민들의 표면적으로는 이중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위 뒤에 면면히 흐르는 사고와 행위의 일관성과 의미를 발견했다.
탈북주민들의 공ㆍ사적 관계에서의 특성과 그 관계 속에서의 행위양식를 이해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사고와 행위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북한주민들의 시각을 통해 남한주민들의 공ㆍ사적 관계의 특성과 그 속에서 채택하는 행위양식에 대해서도 객관적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와 행위양식에 대한 이해는 탈북주민들의 적응과정에서 필요한 심리ㆍ사회적 통합에 기여하고, 남한주민과 탈북주민들 간의 사회통합, 장기적으로는 통일 후 북한주민과 남한주민들 간에 심리적 통합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질화된 남북한의 상호이해와 심리적 통합에 기여
이 책은 북한주민들의 공ㆍ사적 관계망의 크기와 범위, 공ㆍ사적 관계에서의 의사소통과 감정표현, 공적 맥락에서의 의사소통 방식 등을 탐색함으로써 북한주민들의 표면적으로는 이중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위 뒤에 면면히 흐르는 사고와 행위의 일관성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했다. 북한주민들이 보이는 공ㆍ사적 관계의 특성과 그 관계에서의 행위코드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남한사람들을 보는 북한주민들의 시각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북한주민들의 시각을 통해 우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ㆍ사적 관계의 특성과 그 속에서 채택하는 행위코드에 대해서도 객관적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남한 내에서 남한사람과 탈북인들 간의 사회통합, 장기적으로는 통일 후 북한주민과 남한주민들 간에 이해를 촉진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책이다.

탈북인들의 사회적응과 심리적 통합 문제에 대해 지속적 연구의 결과물
저자들은 지난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탈북인들의 사회적응과 심리적 통합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그때마다 크고 작은 결과물을 산출해왔다.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에서는 북한주민이 북한을 떠나 제3국을 거쳐 남한사회에 진입하면서 그들의 심리ㆍ사회적 통합을 저해하는 조건이 무엇이며, 그러한 조건 속에서도 자신들의 심리적 통합과 제3국 및 남한에서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데 도움이 되는 조건과 과정을 탐구했다. 「탈북민의 가족 해체와 재구성」에서는 탈북인의 심리ㆍ사회적 통합과정에서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탈북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가족과 해체되는 경험을 하지만 결국 가족관계로 회귀되어 가는 과정을 다루었다. 그 과정 중에 탈북인의 삶 속에서 가족이 가진 의미를 조명하고 그것을 통해 인간생활에서 가족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했다. 「탈북민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에서는 탈북인들이 북한, 제3국 및 남한에서 자신들의 심리ㆍ사회적 통합을 성취하기 위해 동원하고 활용하는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중요성을 다루었다.
이 책은 「탈북인의 공ㆍ사적 관계와 의사소통」은 저자들이 탐구해 왔던 탈북인의 심리ㆍ사회적 통합이라는 주제의 맥을 잇는 또 하나의 결과물이다.
상세내역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3. 연구 절차
4. 연구 대상

제2장 공 ㆍ 사적 관계와 관계망 크기
1. 사적 영역 침범을 허용하는 관계
2. 사적 영역 침범을 허용하는 관계망의 크기

제3장 공 ㆍ 사적 관계와 의사소통 및 감정 표현
1. 관계에서의 직면적 의사소통
2. 관계에서의 감정 표현

제4장 심리사회적 특성과 공ㆍ 사적 관계
1. 가치 정향과 공ㆍ 사적 관계
2. 사회적 박탈감과 공ㆍ 사적 관계
3. 타인의 기대에 대한 부담감과 공ㆍ 사적 관계
4. 타인의 불신에 대한 지각과 공ㆍ 사적 관계

제5장 공적 맥락에서의 의사소통
1. 학교에서의 의사소통
2. 직장 내 의사소통

제6장 탈북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공ㆍ 사적 관계
1. 탈북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
2. 탈북청소년의 자기개념과 대인관계
3. 탈북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탈북 경험 및 사회적 관계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8장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부록
부록 1 탈북성인 대상 설문지
부록 2 남한성인 대상 설문지
부록 3 탈북청소년 대상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