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북한 무상치료제에 대한 이해

상세내역
저자 이혜경
출판연도 2018년 07월 31일
출판사 솔과학
쪽수 272
키워드 #북한의료   #북한보건의료   #북한사회   #이혜경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 이혜경 박사는 평양에서 출생하였다. 경성의학전문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함흥약학대학 약제학부 편입학하여 졸업하였다. 그는 함경북도 ??병원 약제사로 근무하다가 대한민국의 가족이 되었다. 한국에서 삼육대학 약학과를 재 수학 졸업하고 경남대학교, 북한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를 졸업한 남북한의 학계 모두 걸친 보건의료의 전문가이다.
現 사단법인 새삶 대표, 하나약국 대표약사. 통일 의료학회 이사. 하나사랑협회 이사. 여의도연구원 자문위원. 대한약사회 국제위원회 위원. 대한약사회 정책위원회 위원. CANEL A 심사위원.
상세내역
주요내용
하나 됨, 정녕 어려운 것일까?
우리 사회의 통일의식, 무엇이 문제일까?

저자는, 평양 출생인 남북한의 학계를 모두 거친 보건의료의 전문가!
저자는, 남북한에서 약사로서 현장 경험을 두루 갖춘 전문의료인!

이 책을 통해, 이에 대한 성찰과 대답을 찾을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이 책을 통해, 남북 간의 과학교육계의 동질감을 공유하고 유연한 자세와 너른 이해 하에 통일의식과 통일지향의 바른 길라잡이로서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좋은 장이 될 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는, 북한의 해방 후 열악한 보건의료 교육현장에서의 초기 대학교원수급문제의 현실들을 고찰하여 우리의 아픈 과거와 잊고 산 현실에 대한 성찰! 남한에서 인지하고 있는 북한의 열악하고 낙후되어 있을 것이라는 북의 의료인력의 실력은 과연 어느 정도이며, 영입하고 하나 되기에는 전혀 가능성이 없는 것인가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한다. 북한에서의 의대교육의 과정들을 학생모집과 입학에서 고찰하여 남한뿐만이 아닌 북한의 의(약)학대학의 학생모집과 운영도 ‘수재’들로 이루어진다는 내용들을 살펴봄으로써 남북 인재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한다!
상세내역
목차
머리말 남북한 통합의료를 생각하며 ㆍ6

01 북한 보건의료 교육 현실
1. 보건의료 인력의 교육 ㆍ19
1) 북한의 보건의료인력의 정의 ㆍ20
2) 해방 후의 보건의료교육 ㆍ27
3) 남조선의 인테리들을 데려올 데 대하여, 김일성 ㆍ32
4) 의(약)학대학의 모집과 입학 ㆍ40

2. 보건의료인의 실력수준 ㆍ53
1) 서울대학교 의대 신희영교수 ㆍ54
2) 남한 입국 6개월 만에 의사면허 취득 ㆍ58
3) 의(약)사 교육 ㆍ62
4) 준의사 교육 ㆍ76

3. 보건의료 교육의 정치사상화 ㆍ84
1) 교과목의 정치과목 과잉분배 ㆍ85
2) 혁명성, 조직성 강화훈련 ㆍ94
3) 인텔리의 노동단련 ㆍ113
4) 의대생은 전시 군의관 ㆍ123
4. 보건의료인력의 자격부여와 충원 ㆍ131
1) 의사는 인간생명의 기사 ㆍ132
2) 의(약)사 대량배출 (다양한 교육형식) ㆍ138
3) 국가졸업시험과 자격부여(면허취득) 임·채용 ㆍ151
4) 의(약)사의 재교육과 급수시험 ㆍ165
5) 의(약)학 교육학제의 시기별 변화 ㆍ178

02 북한 무상치료의 위기와 변화
1. 북한의 무상치료의 기본 틀 ㆍ187
1) 보건의료의 구성과 운영메커니즘 ㆍ191
2) 무상치료제 ㆍ212
3) 정성운동 ㆍ221

2. 보건의료의-무상치료의 위기 ㆍ225
1) 총체적인 경제난 ㆍ225
2) 의료인의 생계위기 ㆍ228
3) 의약품의 고갈 ㆍ231
4) 의료위기의 전염병 창궐 ㆍ232

3. 보건의료의 변화 ㆍ236
1) 위기대응을 위한 고려의학의 강화 ㆍ236
2) 의약품의 시장화 ㆍ242
3) 의료서비스의 시장화 ㆍ244
4) 의료시장화의 국가개입 ㆍ250

03 하나 된 통일조국 통일보건의료를 위하여
1. 하나 된 통일보건을 위하여 ㆍ257
2. 북한과는 절대로 섞일 수가 없을까 ㆍ259
3. 북한의 교육 실제를 통하여 ㆍ261
1) 정치사상과목의 지양 ㆍ262
2) 심화수업과 실제를 위한 모색 ㆍ262
3) 양적 우세를 질적 우세로 ㆍ264
4) 하나 됨이 정말 힘든 것일까 ㆍ265
5) 북한의 보건의료의 시장화현상에 대한 진단과 전망 ㆍ267

참고문헌 ㆍ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