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도시 연구는 살아 움직이는 ‘도시’를 만나며 시작된다.
북한의 도시를 연구하는데 그곳에 갈 수 없다면 이것보다 더한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 연구는 포기할 수 없는 북한 연구의 과제이다. 특히 평양 연구는 우리가 반드시 정복해야 할 연구 분야이다. 평양은 단순히 북한의 수도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평양은 북한이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사회주의 혁명의 심장’이며 북한 사회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실험실이다. 평양을 안다는 것은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볼 수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이 책은 열려 있지만 닫혀 있고, 멈춰 있지만 변하고 있는 평양을 7개의 시선으로 바라본 평양 연구이자, 평양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이 책은 크게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장은 평양의 공간, 경제, 문화, 그리고 서울과 평양 교류라는 시각에서 7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
---|
목차 |
발간사 3
Prologue 4 Ⅰ. 평양의 공간 정일영 | 김정은 시대의 도시, 평양을 읽다 1. 김정은이 꿈꾸는 평양으로 2. 북한의 도시, 파괴로부터 사회주의 개조로 3. 김정은 시대의 평양, ‘건설의 대부흥’ 선언 4. 평양, ‘사회주의 지상낙원’의 꿈 5. 코로나 시대, 평양은 안녕한가요 오창은 | 현대 평양은 북한소설에서 어떻게 그려지고 있나 1. 파괴와 건설, 평양의 도시 재건축 2. 미래과학자거리의 이중성 3. 평양과 농촌, 공간의 충돌 4. 노동계급의 공간에 대한 욕망과 평양중심주의 5. 평양공간과 사회적 불평등 Ⅱ. 평양의 경제 채수란 | 김정은 시대 종합시장과 평양시민의 생활수준 1. 북한판 ‘기생충’? 북한의 계층별 삶 2. 평양 종합시장의 이모저모 3. 평양시민의 계층별 월 소득 4. 평양시민의 소비가 궁금하다. 5. 과연 북한판 ‘기생충’의 삶은 지속될까? 정은이 | 평양의 부동산 가치변화와 개발의 다이나믹스 1. 부동산을 통해 평양을 보자 2. 평양에도 부동산 바람이? 3. 부동산 건설과 동인 4. 부동산을 통해 본 평양의 미래 Ⅲ. 평양의 문화 허선혜 | 문화재를 통해 본 혁명국가의 성지, 평양 1. 북한 이데올로기의 투영체, 평양 2. 사회주의 국가의 도시와 문화재 3. 북한이 바라본 평양의 역사적 정체성 4. 평양은 민족의 성지일까, 성지화된 도시일까? 박소혜 | 드라마 속 평양의 주거소비문화 고찰 1. 평양의 자본주의적 이미지, 그 실체는? 2. 평양의 주거공간과 소비문화의 전개 3. 김정은 시기 평양의 주거공간 4. 평양 초고층살림집 주거소비문화의 특징 5. 변화의 잠재력과 가능성 Ⅳ. 서울 - 평양 교류 이민규 | 서울과 평양의 도시교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다시 찾아온 서울 - 평양 교류의 기회 2. 서울과 평양이 맺어온 과거의 흔적 3. 서울 - 평양 교류 재개의 냉혹한 현실 4. 서울 - 평양 교류의 미래 징검다리 놓기 참고문헌 292 |
---|
다음글 | 세계의 분단된 마음들 |
---|---|
이전글 | 북에서 온 이웃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