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평양 오디세이

상세내역
저자 정일영 , 오창은 , 채수란 , 정은이 , 허선혜 , 박소혜 , 이민규
출판연도 2022년 09월 01일
출판사 민속원
쪽수 304
키워드 #평양   #오디세이   #정일영   #오창은   #채수란   #정은이   #허선혜   #박소혜   #이민규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정일영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천주교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산하 평화나눔연구소 연구위원, IBK기업은행 북한경제연구센터 연구위원(전)이다.
저서로는 『한반도 스케치北』(2021), 『북조선 일상다반사』(2021), 『북한 사회통제체제의 기원』(2018) 등이 있다.

저자(글) 오창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화연구학과 교수 및 다빈치교양대학 교수, 중앙대학교 문학박사, (사)한국작가회의 비평분과 위원장(전), ‘문화/과학’ 편집위원(전)이다.
저서로는 『친애하는, 인민들의 문학생활』(2020),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2017), 『절망의 인문학』(2013), 『모욕당한 자들을 위한 사유』(2011) 등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도시 연구는 살아 움직이는 ‘도시’를 만나며 시작된다.

북한의 도시를 연구하는데 그곳에 갈 수 없다면 이것보다 더한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 연구는 포기할 수 없는 북한 연구의 과제이다. 특히 평양 연구는 우리가 반드시 정복해야 할 연구 분야이다. 평양은 단순히 북한의 수도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평양은 북한이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사회주의 혁명의 심장’이며 북한 사회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실험실이다.
평양을 안다는 것은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볼 수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이 책은 열려 있지만 닫혀 있고, 멈춰 있지만 변하고 있는 평양을 7개의 시선으로 바라본 평양 연구이자, 평양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이 책은 크게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장은 평양의 공간, 경제, 문화, 그리고 서울과 평양 교류라는 시각에서 7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내역
목차
발간사 3
Prologue 4

Ⅰ. 평양의 공간

정일영 | 김정은 시대의 도시, 평양을 읽다
1. 김정은이 꿈꾸는 평양으로
2. 북한의 도시, 파괴로부터 사회주의 개조로
3. 김정은 시대의 평양, ‘건설의 대부흥’ 선언
4. 평양, ‘사회주의 지상낙원’의 꿈
5. 코로나 시대, 평양은 안녕한가요

오창은 | 현대 평양은 북한소설에서 어떻게 그려지고 있나
1. 파괴와 건설, 평양의 도시 재건축
2. 미래과학자거리의 이중성
3. 평양과 농촌, 공간의 충돌
4. 노동계급의 공간에 대한 욕망과 평양중심주의
5. 평양공간과 사회적 불평등

Ⅱ. 평양의 경제

채수란 | 김정은 시대 종합시장과 평양시민의 생활수준
1. 북한판 ‘기생충’? 북한의 계층별 삶
2. 평양 종합시장의 이모저모
3. 평양시민의 계층별 월 소득
4. 평양시민의 소비가 궁금하다.
5. 과연 북한판 ‘기생충’의 삶은 지속될까?

정은이 | 평양의 부동산 가치변화와 개발의 다이나믹스
1. 부동산을 통해 평양을 보자
2. 평양에도 부동산 바람이?
3. 부동산 건설과 동인
4. 부동산을 통해 본 평양의 미래

Ⅲ. 평양의 문화

허선혜 | 문화재를 통해 본 혁명국가의 성지, 평양
1. 북한 이데올로기의 투영체, 평양
2. 사회주의 국가의 도시와 문화재
3. 북한이 바라본 평양의 역사적 정체성
4. 평양은 민족의 성지일까, 성지화된 도시일까?

박소혜 | 드라마 속 평양의 주거소비문화 고찰
1. 평양의 자본주의적 이미지, 그 실체는?
2. 평양의 주거공간과 소비문화의 전개
3. 김정은 시기 평양의 주거공간
4. 평양 초고층살림집 주거소비문화의 특징
5. 변화의 잠재력과 가능성

Ⅳ. 서울 - 평양 교류

이민규 | 서울과 평양의 도시교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다시 찾아온 서울 - 평양 교류의 기회
2. 서울과 평양이 맺어온 과거의 흔적
3. 서울 - 평양 교류 재개의 냉혹한 현실
4. 서울 - 평양 교류의 미래 징검다리 놓기

참고문헌 292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세계의 분단된 마음들
이전글 북에서 온 이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