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북한에 관해 왜 알아야 할까?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 위원장이 만나 한반도의 평화를 약속하는 ‘판문점 선언’을 했습니다. 남북 분단 후 70여 년이 지난 지금, 다시금 평화의 바람이 한반도에 불어 오고 있어요. 사실 한민족이 다시 함께 사는 통일은 언젠가는 찾아올, 찾아와야 하는 미래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평화로운 미래를 얼마만큼 준비하고 있을까요? 잘 모르기 때문에 선입견을 가지고, 증오하거나 동정하는 등 극단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진 않을까요? 이 책은 지척에 있지만 멀게 느껴지는 북한을 사실대로 알고 이해심을 높이도록 하는 책입니다. 정규 과정에서 시간을 두고 배우는 것이 좋은 이념적인 내용은 비중을 줄였고, 일반적인 생활 모습과 상식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북한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전문가들이 수많은 자료를 검토해 집필하여 편향된 정보를 담지 않도록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우리 어린이들의 이해를 높여, 다가올 평화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좋은 길잡이가 되고자 합니다. 알기 힘든 북한의 오늘날 모습! ‘북한의 초등학교는 어떤 모습일까? 북한 학교에도 급식이 있을까? 북한 학생들도 공부 부담을 가질까? 스마트폰이나 게임을 할까?’ 이런 질문에 선뜻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궁금증을 가지고 알아보려고 해도 잘못되었거나 과장된 정보가 많아, 지금 북한의 모습을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지요. 북한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지만 우리가 배우는 북한은 근현대사 교과서가 마지막입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 요즘 북한 모습을 최대한 사실과 가깝게 담고자 했습니다. 평양에 사는 소학교 2학년 리혁신과 가족의 일상을 재미있는 만화로 보다 보면, 생활사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 우리와 다른 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면 다름에 대한 이해가 자연스럽게 생길 것입니다. 2018년 9월 출간하는 1편에서는 어린이, 학교, 일상을 중심으로 다루었고, 11월 출간하는 2편에서는 유행, 지역 정보를 중심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
---|
목차 |
북한의 호칭 / 동무, 만나서 반갑다 8
북한의 말 / 알아듣게 말해 보라 12 북한의 가정 생활 / 우리 가족을 소개하디 16 북한의 교육 제도 / 내레 소학교에 다닌다! 20 북한의 교복 / 내 교복 맵시 어떻니? 24 북한 소학교의 일 년 / 올해도 잘 부탁드립네다! 28 북한 소학교의 하루 / 소학교의 하루는 말이디 32 북한 학교의 공부 / 혹시 덜기 좀 하니? 36 북한 학교의 방과 후 활동 / 누이는 소조 활동 하러 갔다! 40 북한 학교의 따돌림 문제 / 모서리주기 당했어? 44 북한의 어린이날 / 래일이 바로 아동절! 48 북한 아이들의 생산 활동 / 토끼가 잘 크는구나 52 북한 아이들의 여행 / 배움의 천리길을 간다! 56 북한 아이들의 놀이 / 송아지동무와 놀 거다 60 북한의 애니메이션 / 아동 영화 할 시간이다! 64 북한의 간식거리 / 두부밥 한번 먹어 보라! 68 북한의 인터넷 / 광명망이 제일 재밌다! 72 북한의 식목일 / 식수절이다, 나무 심자! 76 북한의 스포츠 용어 / 내레 머리받기 전문이다 80 북한의 명절 / 어느 명절이 가장 좋냐면 84 북한의 농업 / 모내기 전투하러 간다 88 북한의 대중교통 / 천리마 전차 타 봤니? 92 북한의 자동차 / 뻐꾸기 자동차를 타갔어 96 북한의 연예인 / 배우가 되고 말 테다! 100 남과 북의 내일 / 네레 잘 지내니? 104 북한 말과 우리말 108 참고 문헌 117 작가 소개 119 |
---|
다음글 | 자유 민주 지키기 |
---|---|
이전글 | 설민석의 통일 대모험(상): 분단 편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