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정부의 정책수행 과정과 결과, 각종 통계, 연구조사 결과 등을 소개하는 정부간행물이다.
|
---|
목차 |
요약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과 연구보고서의 구성 Ⅱ. 권력엘리트 이론과 사회주의체제에 대한 적용 1. 권력엘리트에 대한 이론적 접근 2. 개혁·개방 시기 사회주의체제의 권력엘리트 변화 3. 북한의 권력엘리트 분석 모델 Ⅲ. 인구사회학적 변수로 본 권력엘리트 네트워크 1.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후보위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 2. 중앙위 위원·후보위원의 네트워크 3. 주요 기관별 권력엘리트 네트워크 4. 상위 권력엘리트의 네트워크 Ⅳ. 상호접촉으로 본 엘리트 네트워크 1. 김정일시대 엘리트 네트워크 2. 김정은시대(2012.1~2012.7) 엘리트 네트워크 3. 엘리트 네트워크의 변화와 지속성 Ⅴ. 신진 권력엘리트 1. 김정일정권의 권력엘리트 2. 김정은정권의 권력엘리트 3. 세대교체와 신진 권력엘리트의 주류 4. 신세대의 경향과 지향 Ⅵ. 결론 참고문헌 최근 발간자료 안내 |
---|
다음글 | 극장국가 북한 |
---|---|
이전글 | 유럽의 평화와 헬싱키 프로세스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