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 HOME
  • 도서
  • 사회/문화

피스 메이커

상세내역
저자 임동원
출판연도 2015년 06월 01일
출판사 창비
쪽수 640
키워드 #피스   #메이커   #평화   #남북관계   #북핵   #문제   #회고록   #임동원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 임동원 林東源은 1934년 출생.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 철학과와 동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인제대와 원광대에서 각각 명예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지내고 이후 나이지리아와 호주에서 주재대사로 일하고 외교안보연구원장을 역임했다. 1990년대 초 남북고위급회담 대표 등으로 ‘남북기본합의서’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 등을 채택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1995년 아태평화재단 사무총장으로 김대중 이사장과 인연을 맺고 이후 김대중정부에서 통일부장관, 국가정보원장을 수행하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했다. 2000년 6월 대통령 특사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6·15남북공동선언’을 채택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세종재단 이사장을 거쳐 2015년 현재 김대중평화센터 고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등으로 일하고 있다. 2008년 초판을 펴낸 『피스메이커』는 미국(스탠퍼드대학)과 일본(이와나미쇼뗀)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임동원 회고록『피스메이커』. 북핵위기 20년을 기록한 책이다.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깊이 관여한 미국 고위관리나 전문가가 새로 출간한 회고록과 저서의 내용을 반영하여 2000년대 초중반 미국의 속내를 깊이 들여다볼 수 있도록 했다. 2008년부터 2015년 봄까지의 남북관계와 북핵문제의 전개과정 및 문제점을 추가해 서술했다.
상세내역
목차
개정증보판 머리말 004
초판 머리말 006

제1부 세계가 놀란 남북정상의 극적인 만남
제1장 | 김정일 위원장과의 첫 만남 017
정치를 모르는 국정원장 / 현대, 요시다, 그리고 박지원 / 비밀특사회담 / 미국의 귓속말 /
현대의 무리수 / 평양 168km / 김정일과의 첫 만남 / 유머감각이 풍부한 김정일 위원장

제2장 | 남북정상회담 061
반세기 만의 만남 / 금수산궁전 방문 문제 / 태극기와 인공기 / 김 대통령의 4대 어젠다 /
연합제 대 연방제 / 핫라인 / 전라도 위원장과 경상도 대통령 / 마침내 맞잡은 두 손 /
한송이 꽃 들고

제2부 탈냉전의 새로운 남북관계 모색
제3장 | 피스키퍼에서 피스메이커로 113
평화를 지키는 군인의 길 / 자주국방의 설계사 / 변화의 물결 속에서 /
이제는 ‘통일 전문가’로 / 왜 피스메이커인가

제4장 | 남북고위급회담 131
냉전종식의 서막 / “남녘 사람은 처음입네다” / 서울에서 만난 남북 총리 /
하나 된 둘인가, 둘이 된 하나인가 / 평양의 통일 열풍 / 지연전술

제5장 | 화해협력과 비핵화 161
어떻게 협상할 것인가 / “도장 갖고 왔다” / 남북기본합의서 /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 /
‘벼랑 끝 전술’과 제네바합의 / 김일성 주석과의 대화

제6장 | 냉기류를 만난 남북관계 198
‘소극론’의 대두 / 장기수 이인모의 송환 / 빈손으로 돌아간 손님 / 원칙협상 /
내부 방해자 / 훈령 조작 / 남북대화의 파탄

제3부 화해와 협력으로 전개된 남북관계
제7장 | 김대중과의 만남 239
삼고초려 / 첫 만남 / 3단계 통일론 / 정치 참여의 유혹

제8장 | 새 역사의 로드맵 255
화해, 협력, 변화, 그리고 평화 / 붕괴임박론 / NSC 상임위원회 / 문민정부가 남긴 유산 /
판문점을 열어라 / 소떼 방북과 금강산 관광 / 김대중과 클린턴의 첫 만남 /
새로운 한일 협력시대 / 한중관계의 업그레이드

제9장 | 평화 만들기 300
잘못된 지하핵시설 정보 / 윌리엄 페리를 잡아라 / 포괄적 접근 전략 / 페리의 방한 /
워싱턴 조율 / 토오꾜오?베이징?모스끄바 / 유쾌한 표절 / 한?미?일 3국 공조 /
페리의 방북 / 선으로 악을 이겨라 / 연평해전 / 평화를 위한 결단

제10장 | 새로운 출발 355
작지만 소중한 시작 / 교류?협력의 물꼬 / 북의 추석선물 / “국정원장을 교체하라!” /
워싱턴의 조명록, 평양의 올브라이트 / 무산된 북미정상회담 / CIA에서의 토론

제4부 네오콘의 방해를 헤치고
제11장 | 역풍을 만난 남북관계 399
콜린 파월과의 대화 / 부시 행정부의 ‘ABC 마인드’ / 부시의 강풍을 만난 한반도 /
‘악당’을 원하는 사람들 / 다시 통일부장관으로 / 네오콘의 함정 / 위기에 처한 금강산 /
평양축전의 ‘색깔’ / 무너지는 ‘DJP 연합’ / 북의 세가지 실수 / 부시 독트린

제12장 | 남북관계의 ‘원상회복’ 448
김대중의 부시 설득 / 특사가 되어 다시 평양으로 /
김 대통령의 권고에 귀 기울인 김정일 위원장 / 5대 남북협력사업 / ‘원상회복’을 위하여 /
김정일과의 5시간 / 꽃샘추위 / 활기 되찾은 남북관계 / 다시 움직이는 네오콘

제13장 | 제2차 북핵위기 504
굴복을 강요하는 ‘대담한 접근’ / 제임스 켈리의 방북 / 고농축우라늄계획의 진실은? /
한 미 일 3국 정상회담 / 제네바합의는 깨지고 / ‘북핵은’ 다시 움직이고 /
평양의 겨울 / 미북 양자 회담은 무산되고 / 가다 서다 6자회담 프로세스

제14장 | 평화와 통일의 길 555
민족의 희망을 세운 10년(1998~2007) / 역주행한 남북관계(2008년 이후) /
군사적 충돌과 남북관계 경색 / 핵무기 없는 세계의 실현 / 서독의 동방정책에서 배우다

에필로그 ‘사실상의 통일’ 상황 실현 588

부록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601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605
북미 기본합의문 607
6·15남북공동선언 612
북미 공동 코뮈니케 614
제4차 6자회담 공동성명 618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621
찾아보기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