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익숙하면서도 낯선 ‘모던 서울’
슬픔의 도시를 걷다 대한민국의 성공 신화를 대표하는 아름답고 세련된 도시 서울. 오랫동안 한반도의 중심도시로 기능해 온 서울의 거리에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들춰내고 싶지 않은 ‘모던 서울’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바로 식민, 분단, 이산의 기억이다.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의 젊은 연구진들과 교수들이 ‘모던 서울’의 공간을 걸으며 그 속에 켜켜이 쌓여 있는 아픈 기억을 17편의 이야기에 담았다.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 등장하는 식민지 수도 경성의 공간(화신상가-현 종로타워, 낙랑팔라-현 더플라자 호텔), 해방 정국 시기에 분단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역사적인 장소들(백범 김구 선생의 경교장, 서북학회회관 터, 몽양 여운형 선생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본부 터), 일본 제국의 식민지 자본화를 고스란히 담은 용산·영등포 공업기지(현 용산역 철도정비창 부지, 경방 타임스퀘어), 중국 동포 타운의 변천사(가리봉연변거리, 대림동포타운, 자양동 양꼬치거리), 해방과 전쟁에 휩쓸린 성북의 예술가들 이야기(이쾌대의 성북회화연구소, 권진규 아틀리에, 박경리 가옥, 최만린미술관), 서울의 기념관과 박물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전쟁기념관, 민주화운동기념관) 등 ‘모던 서울’의 여러 단면을 품은 100여 곳을 함께 돌아본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어두운 기억을 마주하고 위로하면서 우리 안에 내재된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하고자 한다. |
---|
목차 |
ㆍ 서문: 모던 서울, 걷기를 시작하며 008
1부 충돌하는 기억 드러내기: 제국, 자본, 국가 ㆍ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식민지 수도 경성이 가졌던 환상(幻想)과 진상(眞相)의 혼종 024 ㆍ 분단 체제에 항거한 교회와 민주화 운동 050 ㆍ 서울에서 언론을 걷다: 언론계의 분단과 반공주의의 변천 081 ㆍ 권력과 저항 사이에서 반복되는 예술에 관한 기억을 찾아서 100 2부 트라우마적 기억 마주하기: 식민과 분단 그리고 저항 ㆍ 일본 제국이 그린 식민지 자본화의 청사진, 용산·영등포 공업기지 122 ㆍ 분열을 걸으며 통합을 상상하다: 1945~1948년 해방정국의 좌우 대립 151 ㆍ ‘인권우체통’에 부치는 편지: ‘남산’의 폭력과 고통 그리고 기억 172 ㆍ 미싱 돌리던 ‘여성’들의 인간 선언: 1970년대 여성 노동자의 기억으로 걷는 청계 산책 192 3부 배제된 기억 불러오기: 식민-이산, 독립-건국, 분단-전쟁 ㆍ 중국 동포 디아스포라의 삶의 현장을 걷다 220 ㆍ 3.1운동의 사적지가 모여 있는 삼일대로 탐방 244 ㆍ ‘건국운동’의 자취를 따라 걷는 종로길 263 ㆍ 1945년 8월에서 1948년 8월까지: 보이지 않게 된 시간 속의 ‘목소리’를 따라 걷는 길 286 ㆍ 서울 북쪽 끝에서 식민과 전쟁의 자취를 찾다 311 4부 연대와 삶의 기억으로 가져오기: 성찰적 극복하기와 사회적 치유 ㆍ 일제강점기 문화예술인들의 그윽한 향기를 찾아 떠나는 성북동 길 336 ㆍ 해방과 전쟁의 격동에 휩쓸린 성북의 예술가들 359 ㆍ 남북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통일을 디자인하다 379 ㆍ 기억의 전승, 공간의 정치: 서울의 기념관·박물관 399 ㆍ 본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모던 서울’의 장소들 433 ㆍ 이 책의 집필진 435 |
---|
다음글 | 북한 미술로 본 금강산의 사계 |
---|---|
이전글 | 북한의 옛집 3: 그 기억과 재생(황해도편)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