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지리/관광

  • HOME
  • 도서
  • 지리/관광

북한의 옛집: 그 기억과 재생(함경도 편)

상세내역
저자 강영환
출판연도 2010년 05월 29일
출판사 이담북스
쪽수 349
키워드 #북한문화   #함경도   #북한옛집   #강영환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 강영환은
1953년 서울 출생
1979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졸업
198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졸업, 공학박사
1983년 울산대학교 교수 취임, 현재까지 재직 중
1991년 경상남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1992년 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집필위원
1997년 울산광역시 문화재위원
1999년 문화관광부 문화재 전문위원
2010년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주요 논문 및 저서>
「새로 쓴 주거문화의 역사」(기문당, 2002) 외 저서 10편
『북한지역 전통주거에 관한 연구』(1996) 외 논문 30편
상세내역
주요내용
『북한의 옛집: 그 기억과 재생(함경도 편)』는 저자와 그의 팀이 지난 1996년부터 약 3년간에 걸쳐 조사한 북한 전통주거의 연구 성과를 대중화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경도 옛집의 일반적 성격, 지역적 차이, 계층적 차이, 함경도 주택의 변화 양상 등을 살피고 있다.
상세내역
목차
제1장 기억의 재생이라는 연구방법
1. 북한의 옛집, 그 30년간의 화두
2. 기억과 재생이라는 새로운 방법
3. 재생의 과정

제2장 함경도의 역사와 생태환경
1. 함경도의 역사
2. 함경도의 지형과 기후
3. 함경도의 마을과 생업

제3장 함경도 옛집의 일반적 성격
1. 옛집을 분류하는 방법의 문제
2. 집중형 주거, 그 생택학적 적응
3. 허술한 담장과 대문, 개방적인 마당
4. 방이 겹으로 배열된 양통집
5. 함경도 양통집의 공간 구성

제4장 함경도 옛집의 지역적 차이
1. 개마고원 산악지대: 함경도 집의 원초형
2. 함남의 동해안 지대: 외양간이 돌출된 양통집
3. 강원도 접경지대: 정주간이 없는 양통집

제5장 함경도 옛집의 계층적 차이
1. 대문과 담장의 계층적 차이
2. 건물과 공간의 계층적 차이
3. 건축 재료와 부재의 계층적 차이

제6장 함경도 주택의 시대적 변화
1. 농촌주택의 변화
2. 도시화에 따른 변화
3. 공업화와 식민화에 따른 변화

제7장 함경북도 옛집의 사례들

제8장 함경남도 옛집의 사례들

부록_북한지역 전통주거에 관한 연구 (1)
북한출신주민들의 지식체계분석을 통하여

참고문헌
색인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북한의 옛집 2: 그 기억과 재생(평안도편)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