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지구상의 마지막 비무장지대를 걷다]는 광복 후 실질적인 분단 70년이 되는 역사적인 시간에 맞춰 비무장지대 전 구간을 민간인 신분으로 최초로 종주한 기록을 책으로 엮었다. 저자는 각종 사료와 해당 지역의 흔적과 증언 등을 통해 비무장지대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울러 비무장지대 인근 유일한 민간인 거주 지역인 대성동 이야기나, 비무장지대 철책선 인근에서 벌어진 유해발굴사업 이야기 등을 통해 전쟁이 남긴 상흔이 여전한 한반도의 현실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
---|
목차 |
머리말 - 역사가 서린 길 248킬로미터, 비무장지대 철책선을 걷다 4
1부 서부전선 ― 정전이 시작된 곳 1 임진강 하구 첫걸음부터 역동적인 풍광 17 2 파주 경의선 비무장지대가 열렸다 28 3 파주 판문점 전쟁의 기억과 문턱 40 4 파주 대성동 유일한 마을, 대성동에서 그려 본 꿈 54 5 연천 사미천 습지의 천국 67 6 연천 임진강 임진강 흘러흘러내리고 81 7 연천 530 GP 정전이 낳은 고립의 섬, GP 93 8 연천 복개평야 녹슨 군사분계선 표지판 105 9 연천과 철원 역곡천 군사분계선을 오간 사람들 114 2부 중부전선 ― 철의 전적지 10 철원평야 평강고원과 철원평야의 해후 131 11 철원 대전차 방벽과 제3땅굴 남과 북의 전쟁 트라우마 144 12 철원 은하 계곡 비무장지대에서 흘러내린 피 157 13 철원 한탄강 넘어 성재산 성재산에서 떠올린 심리전 170 14 철원 계웅산과 화강 절정의 풍광을 간직한 저격능선 183 15 김화 남대천 금강산 전기철도에서 되새기는 식민지와 전쟁 193 16 남대천 대인지뢰 들어가면 죽는다 205 17 철원 삼천봉 한북정맥 북한 산림 황폐화의 실상 217 18 삼천봉과 적근산 한북정맥과 비무장지대의 산 227 19 적근산에서 금성천으로 유해발굴사업과 금성지구전투의 기억 239 20 화천 추동지구 남파와 북파 251 21 최전방 철원ㆍ화천 지구 고난의 7사단 8연대 지역 263 22 동부전선의 초입 북한강 사향노루와 산양이 뛰어노는 비무장지대 272 3부 동부전선 ― 고지가 마주한 전선 23 양구 사태리 31번 국도 금강산 가는 길과 남북을 오간 사람들 285 24 가칠봉 700미터 거리의 철책선 294 25 서희령을 지나 백두대간으로 백두대간과 솔나리 302 26 인제 12사단 27소초 비무장지대 군대 생활 이야기 314 27 고성 동해안 하늘의 군사분계선 324 28 비무장지대 철책선 비무장지대와 세계유산 334 참고문헌 341 |
---|
다음글 | 한국지명유래집: 북한편 1 |
---|---|
이전글 | 북한에서 온 내 짝꿍 순아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