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법/인권

  • HOME
  • 도서
  • 법/인권

Life in the Prison State

상세내역
저자 강동완
출판연도 2024년 06월 29일
출판사 너나드리
쪽수 172
키워드 #삶   #감옥   #권리   #시민   #경제   #사회   #문화   #취약계층   #강동완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강동완

Dong-wan Kang is a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Dong-A University in South Korea, where he conducts research on North Korea. He prefers to be addressed as a unification activist and North Korean human rights advocate, embodying the perspective of a person from a divided country rather than solely identifying as a university professor. Although he visited Pyongyang several times over a decade ago, as a scholar studying North Korea, he cannot currently conduct fieldwork in the country. Instead, he takes pictures of North Korea along the Yalu and Tumen rivers, which form border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he photographs fluctuate between truth and fact depending on the anguish of the photographer, so he tries to convey only the reality of people in North Korea that the world should know. Beyond his scholarly pursuits, he also creates content for a YouTube channel called ‘kangdongwan TV’. His ultimate aspiration is to establish a Care School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a unification culture center.

대학교수라는 말보다 통일덕후로 불리길 원하는 분단조국의 한 사람이다. 평양을 몇 번 다녀온 건 벌써 십여 년 전의 일이다. 북한을 연구하는 학자가 현장에 직접 갈 수 없기에 북중 국경에라도 가서 북녘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는다. 사진은 셔터를 누르는 이의 고뇌에 따라 진실과 사실 사이를 오가기에, 세상이 반드시 알아야 할 북한 주민들의 실상만을 전하고자 애쓴다. 바로 “당신이 통일입니다”를 외치며 〈통일의 눈으로 (지역)을 다시보다〉라는 시리즈 작업을 하고 있다. 통일크리에이티브로 살며 ‘통일만 생각하고 통일을 사랑한다(통생통사)’는 의미를 담아 유튜브 ‘강동완 TV’를 운영중이다. 제3국출신 탈북민 자녀를 위한 돌봄학교와 통일문화센터를 건립하는 게 꿈이다. 호흡이 멈출 때까지 통일북한 관련 99권의 책을 집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마지막 100번째 책으로는 자서전을 쓰고 “통일조국을 위해 작은 노둣돌 하나 놓은 사람”이라는 저자사인을 남기고 싶다. 그 날을 위해 세상의 달콤함과 타협하지 않고 통일의 오직 한길만을 걸으리라 늘 다짐한다.

주요저서로,
『서해5도에서 북한쓰레기를 줍다』(2022 세종도서),
『평양 882.6km: 평양공화국 너머 사람들』 (북중국경 시리즈 3),
『그들만의 평양: 인민의 낙원에는 인민이 없다』(북중국경 시리즈 2),
『평양 밖 북조선: 999장의 사진에 담은 북쪽의 북한』(북중국경 시리즈 1),
『동서독 접경 1,393km, 그뤼네스 반트를 종주하다: 30년 독일통일의 순례』,
『러시아에서 분단을 만났습니다: ‘충성의 외화벌이’라 불리는 북한노동자』,
『북한담배: 프로파간다와 브랜드의 변주곡』(메이드 인 북한- 첫 번째 상품),
『김정은의 음악정치: 모란봉악단, 김정은을 말하다(두 번째 이야기)』,
『엄마의 엄마: 중국 현지에서 만난 탈북여성의 삶과 인권』,
『사람과 사람: 김정은 시대 북조선 인민을 만나다』(2016 세종도서),
『통일의 눈으로 부산을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제주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백령도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춘천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봉화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교토를 다시보다(해외편)』,
『통일의 눈으로 몽골을 다시보다(해외편)』,
『Seoul through the eyes of liberty and peace』,
『통일수학여행: 해파랑길에서 만나는 통일』,
『통일, 너를 만나면 심쿵』, 『통일과 페친하다』, 『모란봉악단, 김정은을 말하다』,
『한류, 통일의 바람』(2012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교양도서),
『한류, 북한을 흔들다』 등을 집필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Because photographs could become eternal records and memories, I tried to capture the appearances of North Korean people who, up to this moment, are struggling to see another day. I pushed myself to work harder, even though my work might seem insignificant, in order to let the outside world know about North Korean people. I wanted the world to resonate with them. After watching the appearanc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filmed in fleeting moments, I was not able to look the other way. Because they seemed to me like a gloomy eternity that would not just last for a moment or a day, but continue the following day, and so on. Indeed, their lives exist outside of our time.

이 책은 북중국경 1,400km를 달리며 압록강과 두만강 건너 북한지역을 촬영한 사진을 북한인권이라는 주제로 추려내고 엮었다. 사진은 영원한 기록과 기억이 될 수 있기에, 오늘 하루를 또 살아내는 북녘 사람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으려 했다. 그리고 세상에 꼭 전해야 한다는 소명으로 스스로를 다그쳤다. 아주 보잘것없는 몸짓이라 할지라도 세상에 울림이 되고자 하는 간절함 때문이었을까? 찰나에 담긴 그들의 모습은, 순간이 아닌 내일도 이어질 암담한 영원처럼 보였기에 모른 척 눈감을 수는 없었다. 그만큼 그들의 삶은 우리의 시간 바깥에 존재했다. 북중국경에서 바라본 조국의 반쪽은 시리도록 낡고 차가웠다. 그곳에도 분명 사람이 살고 있을 터인데... 그토록 마음이 아렸던 건 낯설은 풍경들이 하나둘 안겨 오면서부터다. 압록강과 두만강 너머 망원렌즈에 담겨온 북녘 사람들의 삶은 분명 우리의 오늘과 달랐다.
상세내역
목차
Preface
Chapter 1. Civil and Political Rights
1. Freedom of Movement and Residence within the Borders of Each State
2. The Right to Freedom from Forced Labor
3. The Right to Privacy
4. The Right to Freedom of Thought, Conscience, and Religion
5. The Right Not to Participate in Rallies

Chapter 2.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1. The Right to Adequate Food
2. The Right to Health
3. Labor Rights
4. The Right to Education
5. The Reality of the Countryside
6. Cultural Rights

Chapter 3. Vulnerable Groups
1. Women
2. Children
3. Disabled People

Epilogue

들어가며

<1부 시민적·정치적 권리>
1. 이동 및 거주의 자유에 대한 권리
2. 강제노동을 하지 않을 권리
3.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
4. 사상 · 양심 및 종교의 자유에 대한 권리
5. 집회에 참여하지 않을 권리

<2부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1. 식량권
2. 건강권
3. 근로권
4. 교육권
5. 농촌 현실
6. 문화적 권리
7. 열악한 생활

<3부 취약계층>
1. 여성
2. 아이들
3. 장애인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