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법/인권

  • HOME
  • 도서
  • 법/인권

탈분단의 길: 생활 속 민주주의와 인권

상세내역
저자 도지인 , 정진아 , 전영선 , 조은 , 권금상 , 김엘리 , 방지원 , 임경화 , 김동춘 , 류은숙
출판연도 2018년 10월 15일
출판사 패러다임북
쪽수 339
키워드 #탈분단   #길   #생활   #민주주의   #인권   #도지인   #정진아   #전영선   #조은   #권금상   #김엘리   #방지원   #임경화   #김동춘   #류은숙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소개 대체 이미지 저자(글) 도지인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저자(글) 정진아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
상세내역
주요내용
휴전선에 둘러쳐진 철조망은 전선뿐 아니라 남북 주민들의 일상까지 파고들었다. 적대적인 경쟁관계를 끊임없이 재생산하면서 한국사회를 경직시키는 분단국가주의와 반공이데올로기가 강력하게 작동하는 한 우리는 민주주의와 인권을 온전히 향유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민주주의와 인권국가로서 통일의 미래를 전망할 수도 없을 것이다.
“탈분단의 길: 생활 속 민주주의와 인권”에서는 남북 대결구도와 착종되면서 남북 주민, 코리언디아스포라의 일상에까지 파고든 적대의식과 반공, 비민주성과 인권 유린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극복하고 통일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민주주의와 공공성 회복이라는 차원에서 제언해보고자 한다.
상세내역
목차
제1부 반공의 내면화와 생활 속 적대
전후 이승만정부의 북한 인권문제 제기와 반공주의, 1953-1959
유신체제 국가주의, 반공주의 교육의 내면: 국민학교 사회·국사·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적대 이미지와 기억의 공공화

제2부 분단시대의 기억, 서사, 그리고 군사주의
전쟁과 분단의 일상화와 기억의 정치: ‘월남’가족과 ‘월북’가족 자녀들의 구술을 중심으로
남북한 미디어의 탈북인/탈북탈남인 서사: 미디어가 구성하는 분단의 현재성과 윤리
불완전한 삶에서 움트는 신군사주의

제3부 민주주의 실현과 공공성 회복의 과제
공감과 연대의 역사교육과 ‘과거사’ 문제: 성찰적 역사교육을 위한 시론
국내 비한국계 코리언들의 언어현실과 언어적 공공성: 국내 중국 조선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권과 시민성: 국가, 민족, 가족을 넘어서
‘국’권을 넘어 ‘인’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