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북한 법이념의 변화와 남북한 법제협력을 연구한 한국법제연구원의 정부간행물입니다.
|
---|
목차 |
요약문
Abrtract 제1장 서론 제2장 북한의 통치이념과 법이념의 변화 제1절 통치이념의 변화와 법이념 1 통치이념의 변화 2 주체사상과 법이념 3 통치이념의 변화와 법이념 4 헌법상 법인식의 변화 제2절 사회주의법치국가의 의의와 특강 1 사회주의국가의 법과 법체계 2 사회주의법치국가의 의의 3 사회주의 규범적 법문건체계의 특징 제3장 북한의 법체계와 관리의 변화 제1절 법규범과 제.개정 절차 1 법제정법의 제정 2 법규별 제.개정절차 제2절 입법권과 법적 책임 1 입법권과 법제정 관련 조직 2 법적책임 제3절 입법절차 1 법안제출 2 법안심의 3 법의채택 4 법의공포 제4절 법제정계획 1 법제정계획의 원칙 2 법제정계획 작성순서와 방법 3 법제정계획의 집행 제5절 법령관리와 법규정리 1 법령관리의 정보화 2 법규정리 제6절 법률적 개념과 버벽용어 1 법률적 개념 2 법렬용어 제4장 북한의 입법과 법의식의 변화 제1절 입법관리상의 변화 1 입법 관리상의 변화 동향 2 2004년 법전의 내용과 특징 3 2012년 법전의 내용과 특징 4 입법관리의 시기별 변화 5 입법 관리상의 과제 제2절 법령 내용상의 변화 1 공법상의 변화 2 사법 및 대외경제법 상의 변화 제3절 법령의 국제화 1 법령 국제화의 형태 2 법령 국제화의 한계 제5장 북한의 법현실과 법의식의 변화 제1절 북한법령의 규범성과 법해석 1 북한법령의 규범성 2 법의 해석 제2절 법의식의 변화 1 준법의식 2 법률봉사와 법의식 제6장 북한법제의 변화와 납북한 법제협력 제1절 법령 관리의 교류와 지원 1 법령관리협력방안 2 경제특구를 통한 법제 교류의 확장 제2절 북한법제의 발전과 국제협력 1 국제기구와의 공조 2 ODA 를 통한 법제교류지원 참고문헌 <참고자료>남북한 합의서상 용어대비표 |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