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한국법제연구원의 북한이탈주민 지원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
---|
목차 |
요약문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의의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북한 및 북한 이탈주민의 법적지위 제1절 북한의 법적 지위 제2절북한이탈주민의 법적지위 1.용어의 정의 2.국내법상의 지위 3.제3국에 체류 중인 북한이탈주민의 법적지위 제3장 현행 제도상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지원체계 제1절 정착ㆍ지원제도의 개요 제2절 지원단계를 중심으로 한 체계 1.초기입국지워단계 2.보호지원단계 3.거주지편입지원단계 제3절 지원기관을 중심으로 한 체계 제4절「북한이탈주민지원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의 현황 1.「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의제ㆍ개정경위 2.「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4장「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1절 북한이탈주민의 국적조항 1.개설 2.대법원의 판례 3.소결 제2절 비보호북한이털주민의 발생 제3절 제3국에서 출생한 북한이탈주민자녀의 보호문제 1.정의 2.문제점 3.국내법적 정비방안 제4절 학력 및 자격의 인정 1.학력인정의 법적 근거 2.학력심의의 절차 3.현행 학력심의제도의 문제점 4.자격의 인정 5.취업 관련 규정의 검토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지원 역량강화를 위한 법제 1.문제점 2.지방자치단체의 역할배분을 위한 법제 정비방향 제6절「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의 추가 정비방향 1.남북한의 관계규정 2.해외체류 무국적 탈북자에 관한 법정책 3.북한이탈과정에서 신변보호에 관한 규정 신설 4.북한이탈주민이 재입북을 추진하는 경우 발생하는 법적 문제 제5장 결론 참고문헌 |
---|
다음글 | 시민의 불복종 |
---|---|
이전글 | 북한의 교육 및 직업관련 법제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