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한국법제연구원의 북한 경제특구 관련 노동법제를 중심으로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
---|
목차 |
요약문
Abstract 제1장 연구의 개요 / 15 제1절 연구의 목적과 방향 17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9 제2장 남북한 노동법제 비교분석 / 21 제1절 북한 노동관계법제의 개요 23 Ⅰ. 북한 노동법의 이념?목적 23 Ⅱ. 북한 노동관계법의 체계 26 Ⅲ. 북한 노동법제의 특징 28 Ⅳ. 북한 노동법제의 주요내용 30 제2절 남북한 노동법제의 이질화 34 제3절 개성공단 등 경제 특구에서의 노동법제 변화경향 37 Ⅰ. 외국인 투자관련 법규의 주요 내용 37 Ⅱ. 경제특구와 노동관련 규정 43 Ⅲ. 개성공업지구의 노동법제 53 제3장 북한 노동법제 운영상황 분석 / 65 제1절 북한 노동법제와 실제 사례 67 Ⅰ. 개성공업지구의 노동법제 67 Ⅱ. 기타 경제특구 관련 노동법제 89 제2절 북한의 근로자대표조직과 노무관리 92 Ⅰ. 북한의 근로자대표조직 체계 92 Ⅱ. 노동조직 갈등상황 해결체계 97 제4장 남북한 노동법제 통합방안 모색 / 103 제1절 개 요 105 제2절 노동법제 통합의 로드맵 106 Ⅰ. 노동법제 통합의 선결과제 ? 국제노동기준 준수 106 Ⅱ. 노동법제의 단계적 통합방안 126 제3절 현안쟁점에서의 대응 방안 130 Ⅰ. 개성공업지구 운영 활성화 130 Ⅱ. 노동분쟁 해결체계 132 Ⅲ. 노동법제 통합의 관건 133 제5장 요약 및 결어 / 135 Ⅰ. 요 약 137 Ⅱ. 결 어 140 참고문헌 143 |
---|
다음글 | 탈분단의 길: 생활 속 민주주의와 인권 |
---|---|
이전글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보장법상 쟁점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