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이주민 · 북한이탈주민 건강정보 문해력 관련 행정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상세내역
저자 김주경,이승현
소속 및 직함 보건복지여성팀 입법조사관, 외교안보팀 팀장 직무대리
발행기관 국회입법조사처
학술지 현장조사보고서
권호사항 (4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49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이주민   #북한이탈주민   #건강정보   #문해력   #행정서비스   #실태   #개선방안   #한국어   #교육   #김주경   #이승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건강정보 문해력(Health Literacy)이란, ‘개인이 의료와 관련된 적절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건강정보와 건강서비스를 제대로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보고서는 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 등에게 제공하는 교육관련 행정서비스 중에서 건강정보 문해력 향상을 위해 제공되는 행정서비스의 실태에 대하여 조사·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하였다. 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은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행정서비스의 대상이며 사회적 취약계층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실태조사 결과, 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한국어교육서비스 중 건강정보 문해력 향상을 목적으로 편성된 부분은 양적·질적 측면에서 모두 빈약하고 실제 의료서비스 이용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현장 조사 결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취약한 계층이라고 볼 수 있는 이주민·북한이탈주민이 질병 등 위기 상황에 대처하고 안정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특히 건강정보 문해력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목차
□ 요약

Ⅰ. 서론

Ⅱ. 조사ㆍ분석 체계

1. 조사 대상 및 내용

2. 조사 방법

3. 조사 일정

Ⅲ. 건강정보 문해력 향상 관련 행정서비스 제공 실태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건강정보 문해력 행정서비스 제공 실태

가. 건강정보 문해력 관련 한국어 교육 제공 현황

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교육생의 건강정보 문해력 수준

(설문조사 분석결과)

2. 하나원의 건강정보 문해력 행정서비스 제공 실태

가. 건강정보 문해력 관련 한국어 교육 제공 현황

나. 하나원 교육생의 건강정보 문해력 수준(설문조사 분석 결과)

Ⅳ. 문제점과 개선방안

1. 문제점

가. 교육서비스 이용자의 낮은 건강정보 문해력 수준

나. 건강정보 문해력 교육의 낮은 실용성

다. 낮은 건강정보 문해력을 보완할 언어지원 체계 미흡

라. 건강정보 문해력 측정 도구의 낮은 변별력

2. 개선방안

가. 건강정보 문해력 관련 한국어 교육 내용 실용화

나. 의료서비스 이용 시 관련 언어 지원ㆍ안내 체계 구축

다. 지역보건소 등과 연계한 의료이용 통합 지원

라. 건강정보 문해력 측정 도구 보완

마. 이주민ㆍ북한이탈주민 자조 모임 지원을 통한 언어 지원 활성화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1. 한국어 성인용 건강문해력 측정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