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1945년 이후 미국의 대외 정책과 트럼프 신행정부의 외교 정책 전망

상세내역
저자 신성원
소속 및 직함 경제통상연구부장
발행기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학술지 정책연구시리즈
권호사항 2016(0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44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1945년   #미국   #대외정책   #트럼프   #신행정부   #외교정책   #전망   #안보   #한미동맹   #한국전쟁   #북한   #신성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45년 해리 트루먼(Harry Truman) 행정부 이후 2008년 집권한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행정부까지 70여 년간의 미국 행정부 대외 정책을 분석해 보면 일정한 추세를 볼 수 있는데, 적극적인 대외 정책과 소극적인 정책이 번갈아 가며 시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1945년부터 8년간 집권한 민주당 출신 트루먼 행정부는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취했으며, 1953년부터 8년간 집권한 공화당 출신 드와이트 아이젠하워(Dwight Eisenhower) 대통령은 소극적 대외 정책을 수행했다.

1960년부터 1963년까지 집권한 민주당 출신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대통령은 적극적 대외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1961년 쿠바 피그스만(Pig’s Bay) 침공과 독일 베를린 위기, 1962년의 쿠바 미사일 위기 대응은 적극적인 대외 정책의 대표적 사례들이다.

1963년 11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이후 1963년부터 1968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한 민주당 출신 린든 존슨(Lyndon Baines Johnson) 대통령은 집권 초기에는 온건한 대외 정책을 펼쳤으나, 1965년부터 1968년까지 베트남전에 대규모로 개입하는 적극적 대외 정책 수행하며 실패했다.

1969년부터 1974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한 공화당 출신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은 역사적인 중국 방문과 베트남전 종결 등 소극적인 대외 정책을 추구했다.
목차
Ⅰ. 트루만 행정부(1945~1953)
1. 마셜 플랜
2. 북대서양조약기구 창설 및 소련의 베를린 봉쇄
3. 조지 케넌의 대안적 외교전략
4. 미군 지도부와의 불화
5. 소련의 핵실험 성공과 중국의 공산화
6. NSC-68
7. 한국 전쟁

Ⅱ. 아이젠하워 행정부(1953~1959)


Ⅲ. 케네디 행정부(1960~1963)


Ⅳ. 존슨 행정부(1963~1968)


Ⅴ. 닉슨 행정부(1969~1974)


Ⅵ. 포드 행정부(1974~1977)


Ⅶ. 카터 행정부(1977~1981)


Ⅷ. 레이건 행정부(1981~1989)


Ⅸ. 부시 행정부(1989~1992)


Ⅹ. 클린턴 행정부(1993~2000)


XI. 트럼프 신행정부의 대외 정책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