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세기 들어 탈냉전기의 세계정치에서는 전통적 지정학의 귀환과 정보통신 기술을 필두로 하는 단절적인 기술혁신(disruptive technologies)이라는 두 가지 메타 파워(meta power)가 국가 간 관계와 국제사회에서 갈등과 변화의 새로운 동인으로 작용하면서 국제질서를 재구성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두 가지 비판과학은 한국의 통일문제에 어떠한 제약과 기회의 요인을 제공하고 있는가? 한반도 통일이라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한국 통일외교의 방향성은 어떠해야 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한국의 통일외교가 남북한의 상이한 정치경제체제와 국가의 통일이라는 과제를 포괄해 도달하기 위한 과정에서 민족/국가 정체성(national identity)의 요소를 규정하고, 반영하며, 구현하는 외교정책 또는 접근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