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는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가치를 중심으로 동맹을 복원하고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지도력을 회복할 것을 공언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국제무대에서도 인권 담론과 인권 관련 의제들의 부상이 예견되고 있다. 본보고서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북 인권정책을 중심으로 향후 바이든 행정부의 인권외교 방향을 전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비 및 고려사항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대북 인권정책을 중심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인권외교 전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바이든 행정부 인권외교의 기반을 제공하는 법적 토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향후 우리 정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인권외교 수행에 어떻게 협력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에 대해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히 북한인권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선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며, △한반도 평화가 북한인권 개선의 필수 조건이고, △남북관계 발전을 통한 실질적 북한인권 개선을 추진한다는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하에서 대북 인권정책 실행을 위한 한미 협력이 시급히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e Biden Administration vowed to repair alliances through diplomacy and restore Washington’s leadership position on the global stage. At the center of this movement, we find the guiding value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human rights would be one of the main themes of the Biden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present an expected outline of the administration’s future human rights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North Korea, and also to provide some policy considerations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is report first presents an anticipated overview of the Biden administration’s overall human rights foreign policy, paying a particular attention to North Korea. It then examines the legal basis upon which the Biden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implement its human rights foreign policy.
Lastly, the report makes policy suggestions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cooperate with and effectively respond to the Biden administration’s human rights foreign policy. This report recommends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i)cooperate fully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to advanc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i)uphold that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s, and (iii)maintain the consistent position that it would achieve the effective advancement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Last but not least, this report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South Korea-U.S cooperation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implementing human rights policies for the North Korean people.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